•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대통령과의 만남' 의료계 후유증…"내부의 적", "대표 탄핵"(종합)

등록 2024.04.05 11:50:34수정 2024.04.05 11:52:2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일부 강경파 전공의들 "밀실 결정"

전공의 대표 탄핵 가능성도 거론

의협 비대위 "전공의 의견 모은 것"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의대정원 확대로 정부와 의사 간 갈등이 장기화 되고 있는 4일 서울시내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2024.04.04.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의대정원 확대로 정부와 의사 간 갈등이 장기화 되고 있는 4일 서울시내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2024.04.0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윤석열 대통령과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이 대화 테이블에 앉았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여진이 일고 있다.

5일 의료계에 따르면 일부 강경파 전공의들을 중심으로 박 비대위원장이 전날 윤 대통령을 만난 것은 "밀실 결정"이라는 비판과 함께 "전공의들의 의견을 모아서 내린 결정"이라는 목소리가 동시에 나오고 있다.

대전성모병원에서 인턴으로 일하다 사직한 류옥하다씨는 전날 성명을 내고 "윤 대통령과 박 비대위원장의 만남은 박 비대위원장과 11인의 독단적인 밀실 결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젊은 의사들 다수의 여론은 의대증원·필수의료패키지 백지화, 복지부 장·차관 경질,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필수의료 수가·사법리스크 해결 등에 대해 정부가 ‘신뢰할 만한 조치’를 보이지 않으면 테이블에 앉지 않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공의 커뮤니티에서는 일부 강경파 전공의들 사이에서 박 비대위원장에 대한 탄핵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대전협 측은 윤 대통령과 만남 전 의협과 협의하진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임현택 의협 회장 당선인은 전날 페이스북에 "아무리 가르쳐도 이해하지 못하면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라는 글을 올렸다. 대상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진 않았는데,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5일에는 "밖의 거대한 적보다 내부의 적 몇 명이 나를 더 힘들게 한다"고 밝혔다. 의료계 내 다른 목소리에 대한 불편함을 드러낸 것이다.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날 대통령과 박 비대위원장과의 만남은 박 비대위원장이 전공의들의 의견을 모아서 내린 것으로 독단적인 결정이 아니다는 입장이다.

김성근 의협 비상대책위원회 언론홍보위원장은 이날 KBS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협상 자리가 마련되면 강경파와 그렇지 않은 사람들로 나뉘기 마련"이라면서 "박 비대위원장이 (대화에) 들어가기 전에 전공의들한테 내용을 전달했고 전공의 비대위가 추가로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견을 조율해 나가는 과정에서 나올 수 있는 반응"이라면서 "특별한 의미를 두고 있지 않다"고 했다.

전날 의정 간 대화의 물꼬는 트였지만, 입장차만 확인해 현재로선 향후 갈등이 지속될 가능성이 큰 상태다.

박 비대위원장은 전날 윤 대통령에게 "의대 2000명 증원은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면서 "의사 수급 추계 기구 등을 통해 의대 증원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향후 의사 증원을 포함한 의료 개혁에 관해 의료계와 논의 시 전공의들의 입장을 존중하겠다”면서도 의대 2000명 증원이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의료계 내부에서는 증원을 1년 유예한 상태에서 사회적 공론화를 통해 양측의 입장차를 좁혀 나가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김 위원장은 "과학적 근거가 없어 반발이 큰 의대 2000명 증원을 꼭 2025년에 해야 하느냐"면서 "급격한 의대 증원으로 교육할 수 없다는 각 의과대학의 목소리도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1년을 미루고 (의대 증원 규모 등을) 정확히 검토할 수 있는 위원회를 구성하면 충분히 서로 존중할 수 있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운 대통령과 박 비대위원장이 2시간 이상의 대화에도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자 보건의료노조는 실질적 해법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은 5일 입장문을 내고 "진료 정상화의 물꼬가 트이길 기대했지만 면담은 아무 성과없이 끝났다"면서 "전공의 입장을 경청한 뒤 전공의 입장을 존중하기로 했다는 게 면담 내용의 전부"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와 의사단체들은 대화를 이어가면서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최우선 목표로 국민 생명을 살리는 실질적 해법을 빨리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