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흘 침묵 깬 尹, 與에 정국 안정 방안 일임…여당에 탄핵 부결 명분 제공
대국민담화서 "국민께 진심 사과, 계엄 없을 것"
"임기 문제 포함 정국 안정 방안 당에 일임"
임기단축 개헌, 책임총리제 거국내각 등 거론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회 본회의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12.07.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또한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여당 의원들에게 부결의 명분을 제공한 만큼 이날 오후로 예정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결과에도 관심이 쏠린다.
윤 대통령은 7일 오전 10시 방송 생중계로 대국민담화를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일 선포한 비상계엄은 "국정 최종 책임자인 대통령으로서의 절박함에서 비롯됐다"면서도 "국민들께 불안과 불편을 끼쳐 매우 송구스럽다. 많이 놀랐을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또한 "제2의 계엄은 결코 없을 것"이라며 비상계엄 재발 우려 여론을 불식시켰으며, "계엄 선포와 관련해 법적, 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 않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나아가 윤 대통령은 "저의 임기 문제를 포함해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 이후 여당 내 소장파 의원들은 임기단축 개헌을 제안했고, 국민의힘 시도지사협의회는 윤 대통령에게 책임총리가 이끄는 비상 거국 내각을 구성하고 2선으로 물러날 것을 촉구했다.
윤 대통령의 대국민담화 발언은 이러한 여권 내 목소리를 어느 정도 수용하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실로 들어가며 취재진의 질문에 손사래를 치고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의 긴급 대국민 담화 방송을 시청한 한 대표는 "윤 대통령은 정상적인 직무수행이 불가능하다며 조기퇴진이 불가피하다"라고 말했다. 2024.12.07. [email protected]
윤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는 탄핵안 표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여당은 부결을 당론으로 확정했다. 하지만 한동훈 대표가 탄핵 찬성쪽으로 돌아서면서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갔다. 이에 추경호 원내대표를 비롯한 여당 중진 등이 물밑에서 윤 대통령 설득 작업에 나섰다.
결국 윤 대통령은 표결 당일 오전 대국민담화를 통해 재발 방지를 약속하고, 법적·정치적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이로써 여당 의원들에게는 부결의 명분이 생겼다는 분석이다. 조경태 의원의 경우 당초 윤 대통령 탄핵에 찬성 입장을 밝혔으나, 이날 오전 반대하는 것으로 선회하기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