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사업자 수 26% '뚝'…코인거래소 '옥석 가리기'
'폐업 여파'…코인마켓거래소 10곳 갱신신고 포기
거래 없는 거래소들 더 있어…사업자 감소 추세 심화 전망
"옥석 가릴 시점…장기적으로는 투자자 보호"
![[서울=뉴시스] 지난 2023년 4월 1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지닥 사무실 모습. 지닥은 이번에 가상자산사업자 지위를 상실했다. (사진=정병혁 기자) 2025.02.08](https://img1.newsis.com/2023/04/11/NISI20230411_0019850811_web.jpg?rnd=20230411092657)
[서울=뉴시스] 지난 2023년 4월 1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지닥 사무실 모습. 지닥은 이번에 가상자산사업자 지위를 상실했다. (사진=정병혁 기자) 2025.02.08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지난해 제도화를 바탕으로 가상자산사업자의 법적 준수 사항이 늘면서 코인거래소 수가 감소하는 '몸집 줄이기'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부실 거래소가 자연스럽게 걸러지면서 산업의 옥석 가리기가 이뤄질 것이라고 봤다.
8일 금융정보분석원(FIU)에 따르면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를 포함한 가상자산사업자(VASP) 수가 기존 42개에서 31개로 26% 감소했다.
이번에 가상자산사업자 지위를 상실한 11곳 중 10곳은 원화 거래를 지원하지 않는 코인마켓 거래소(▲지닥 ▲프로비트 ▲후오비코리아 ▲플렛타익스체인지 ▲한빗코 ▲비트레이드 ▲코인엔코인 ▲캐셔레스트 ▲텐앤텐 ▲에이프로빗) 였다. 사실상 코인거래소들이 대거 퇴출당한 것이다.
나머지 1곳은 가상자산 지갑사업자 마이키핀월렛이다.
다수의 코인마켓 거래소들이 지위를 상실한 배경은 원화 거래 불가 및 거래량 저조 등에 따라 사업자 갱신신고를 포기한 영향이다. 실제로 이들은 오랜 기간 재정난을 이기지 못하고 지난해 폐업을 선언했다.
갱신신고 허들이 지난 2021년 최초 신고 때보다 높아진 점도 반영됐다. 지난해 7월 시행된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용자보호법)에 따라 경제적, 정책적으로 이행해야 하는 의무 사항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보험 가입과 이상거래감지시스템을 필수적으로 구축해야 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번에 갱신신고를 마친 국내 가상자산 기업을 운영하는 한 대표는 "향후 시장 상황과 정부 규제 방향을 고려하며 사업을 진행하고 싶어 갱신신고를 신청했지만, 코인마켓 거래소 같은 일부 사업자는 과점화와 원화 거래 불가 등 어려움을 겪어 아예 신고조차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코인마켓 거래소를 필두로 가상자산사업자가 감소하는 현상은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31곳에서 추가로 사업자 지위를 상실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이는 FIU가 공개한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에 관한 정보공개 현황'에서 유추할 수 있다.
현황에 따르면 갱신신고 신청 기간이 남은 곳은 총 13곳(▲오아시스 거래소 ▲큐비트 ▲카르도 ▲델리오 ▲페이코인 ▲커스텔라 ▲코인빗 ▲인피닛블록 ▲디에스알브이랩스 ▲비댁스 ▲인엑스 ▲돌핀 ▲바우맨) 등이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신고수리를 마친 사업자 5곳▲디에스알브이랩스 ▲비댁스 ▲인엑스 ▲돌핀 ▲바우맨)을 제외하고 나머지 8곳은 갱신신고 여부가 확실하지 않은 것이다. 즉 이번에 사업자 지위를 상실한 곳들과 마찬가지로 갱신신고를 포기할 수 있다는 뜻이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한 임원은 "갱신신고 신청 기간이 남은 곳 중 여전히 거래 자체가 없는 코인마켓 거래소들도 있다. 이들도 유효기간 만료 전에 갱신신고를 포기하면 가상자산사업자는 현재 31곳에서 추가로 줄 수 있다"며 "갱신 의지가 없는 코인마켓 거래소들이 자연스럽게 소멸하는 현상이 더욱 심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 시행령 제10조의15에 따르면 가상자산사업자 유효기간은 3년이다. 신고 수리일부터 3년이 되기 전에 갱신 신고를 신청해야 한다.
이에 따라 가상자산 업계 옥석 가리기가 탄력을 받을 것이란 진단이 나온다. 코인거래소 몸집 줄이기가 장기적으로 투자자 보호에 유효하다는 설명이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관계자는 "업계에서는 지난 2017~2018년 가상자산공개(ICO)가 난립했을 때부터 옥석 가리기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며 "현재가 딱 그런 시기라고 생각한다. 투자자 보호를 위해 운영을 지속하기 어려운 거래소들을 자정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