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이란 핵협상서 전면폐기 아닌 농축제한에 무게
트럼프 중동 특사 "이란, 3.67% 초과할 필요없어"
'리비아식' 완전 폐기 주장하는 이스라엘 반발 예상
![[무스카트=AP/뉴시스] 사진은 12일 (현지 시간) 오만 수도 무스카트에서 이란의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왼쪽)이 미국 중동특사 스티브 위트코프 미 중동 특사와의 협상을 앞두고 바드르 빈 하마드 알부사이디 오만 외무장관(오른쪽)과 회담하는 모습. 2025.04.12.](https://img1.newsis.com/2025/04/12/NISI20250412_0000253611_web.jpg?rnd=20250414135923)
[무스카트=AP/뉴시스] 사진은 12일 (현지 시간) 오만 수도 무스카트에서 이란의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왼쪽)이 미국 중동특사 스티브 위트코프 미 중동 특사와의 협상을 앞두고 바드르 빈 하마드 알부사이디 오만 외무장관(오른쪽)과 회담하는 모습. 2025.04.12.
협상을 주도하고 있는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는 지난 14일(현지 시간)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이란과 핵협상은 우라늄과 무기 검증이라는 두가지 포인트로 진행될 것이라며 "이란은 (우라늄을)3.67%를 초과해 농축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이란 정부 주장대로 우라늄 농축이 민간 핵 프로그램을 위한 것이라면, 3.67%를 초과할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언론은 위트코프 특사가 이란 핵 프로그램의 완전한 폐기를 언급하지 않고, 3.67% 순도 제한만 거론한 것을 주목하고 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협상 방향이 폐기가 아니라 농축 제한을 향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위트코프 특사가 언급한 3.67% 농축 기준은 과거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이란과 체결한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에도 포함돼 있다.
이란은 트럼프 행정부가 핵 합의를 폐기하자, 우라늄 농축 순도를 60%까지 늘렸다. 이는 무기화가 가능한 90% 수준과 머지 않은 수치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란 핵 프로그램을 일부 용인하며 협정을 체결할 경우 이스라엘이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스라엘은 이란의 핵 프로그램과 시설, 장비를 모두 해체하는 전면적인 폐기를 주장하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지난 8일 영상 성명에서 이란도 '리비아식 모델'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리비아식 모델'은 먼저 핵프로그램을 폐기하면 보상이 이뤄지는 형식이다. 2005년 리비아가 핵 폐기 완료를 선언하자, 미국은 검증을 거쳐 2006년 6월 리비아를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삭제하고 경제 제재를 해제했다.
한편 위트코프 특사는 이란의 미사일 등 무기 검증도 협상의 주요한 축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궁극적으로 무기화에 대한 검증"이라며 "그들이 비축하고 있는 미사일과 폭탄의 기폭장치를 포함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와 이란은 지난 12일 오만에서 첫 협상을 진행했고, 오는 19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재차 만나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