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침선장' 김인자·'백동장' 조성준 무형유산 보유자로 인정
김인자씨 40여 년간 전통 바느질 기술 전승
조성준씨 50여 년간 백동공예 문화유산 복원
![[서울=뉴시스]김인자 침선장.](https://img1.newsis.com/2025/05/09/NISI20250509_0001838820_web.jpg?rnd=20250509214914)
[서울=뉴시스]김인자 침선장.
침선장이란 바느질로 옷과 장신구를 만드는 기술을 가진 사람을 말하고, 백동장은 구리와 니켈 합금인 백동을 소재로 비녀, 촛대, 화로, 담뱃대 등 공예품을 제작하는 장인이다.
침선장은 고(故) 박광훈 보유자 이후 8년 만의 지정이며 백동장은 2024년 서울시 무형유산 종목 지정 이후 처음으로 배출된 보유자다.
침선장 김인자 보유자는 1980년 어머니에게 손바느질을 배우기 시작해 1989년 국가무형유산보유자 고 정정완의 전수생으로 입문했다.
2001년 국가무형유산 침선장 이수자가 된 후, 대학에서 전통복식디자인을 전공하며 강의와 연구활동을 통해 침선 기술을 전승해 왔다. 특히 2013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한복 패션쇼를 개최하는 등 한국 전통 복식의 아름다움을 국제사회에 알려 2017년 대한민국 한류대상 '전통문화대상'을 수상했다.
![[서울=뉴시스]조성준 백동장.](https://img1.newsis.com/2025/05/09/NISI20250509_0001838821_web.jpg?rnd=20250509214930)
[서울=뉴시스]조성준 백동장.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상륜부 금속장엄물 등 다양한 문화유산 복원에 참여했으며, 8년간 대학에서 백동 제작기법을 가르쳐왔다. 2011년에는 '육각백동촛대'로 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한광모 서울시 문화유산보존과장은 "새롭게 인정된 두 보유자는 수십 년간 우리의 전통 기술을 위해 외길을 걸어온 장인들"이라며 "앞으로도 어렵게 명맥을 이어온 우리의 전통 기술이 미래로 온전히 전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