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더운 여름, 맨홀 아래서 질식사하는 근로자들…고용부 집중점검 나서

등록 2025.05.18 12:00:00수정 2025.05.18 13:36: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밀폐공간 질식 위험사업장 200개소 대상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지난 2023년 7월13일 오전 대구 서구 비산동의 한 염색관리공단 폐수처리장에서 황산가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 = 독자 제공) 2023.07.13. photo@newsis.com

[대구=뉴시스] 이무열 기자 = 지난 2023년 7월13일 오전 대구 서구 비산동의 한 염색관리공단 폐수처리장에서 황산가스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 = 독자 제공) 2023.07.1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권신혁 기자 = 고용당국이 기온이 올라가는 시기에 맞춰 현장 근로자들이 밀폐공간에서 질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집중점검에 나선다.

고용노동부와 산업안전보건공단은 18일 밀폐공간 질식 재해와 관련해 고위험사업장 200개소를 대상으로 8월까지 집중점검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밀폐공간 질식 재해는 산소결핍, 유해가스 중독 등으로 발생한다.

재해자 2명 중 1명이 사망할 정도로 치명적인데, 기온이 올라가면 유해가스가 더 많이 발생해 맨홀, 오폐수처리시설, 축사 등에서 질식사고 위험성이 더 커진다.

살제로 지난해 7월, 산업단지 내 공공폐수처리시설 처리수조에서 분리막 철거 작업을 하던 근로자 1명이 황화수소에 중독돼 숨졌다.

같은 해 6월엔 하수도 준설공사를 위해 맨홀 아래로 내려간 근로자 1명이 유해가스 중독으로 사망했다.

이에 고용부는 질식 재해 예방 3대 안전 수칙에 집중할 방침이다.

우선 사업장 내 밀폐공간을 사전에 파악해 출입을 금지하거나 위험 장소임을 알려야 한다. 또 작업 전 산소 및 유해가스 농도를 측전하고, 안전한 상태가 아니면 환기 등의 조치를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안전이 확인되지 않았다면 호흡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해야 한다.

이 밖에도 고용부는 밀폐공간 안전작업절차 수립 여부와 그간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긴급구조체계 및 훈련 여부를 살필 예정이다.

또 작업자에게 밀폐공간의 위험성과 작업 방법을 제대로 교육했는지도 점검한다.

한편 산업안전보건공단은 산소·유해가스 측정기, 환기 장비, 호흡보조구 등을 갖추지 못한 사업장에 대한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밀폐공간 작업 실시 전에 전문가가 현장을 방문해 장비를 빌려주거나 관련 교육을 실시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