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HMM만 부산행?…"공공기관·해사법원도 필요해"
해양수산부·HMM 이전 의미와 과제 정책토론회
![[부산=뉴시스] 원동화 기자 = 24일 부산시의회 중회의실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오륙도연구소와 해양수도 범시민 추진회의가 공동 개최한 '해양수산부·HMM 이전 의미와 과제' 정책토론회 모습. 이현 민주당 부산진구을 지역위원장(왼쪽부터), 오문범 부산YMCA 사무총장, 남기찬 전 부산항만공사 사장, 김태만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교수, 김상구 한국지방정부학회 회장, 김현 한국해사컨설팅물류본부장. 2025.06.24. dhwon@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6/24/NISI20250624_0001875212_web.jpg?rnd=20250624121916)
[부산=뉴시스] 원동화 기자 = 24일 부산시의회 중회의실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오륙도연구소와 해양수도 범시민 추진회의가 공동 개최한 '해양수산부·HMM 이전 의미와 과제' 정책토론회 모습. 이현 민주당 부산진구을 지역위원장(왼쪽부터), 오문범 부산YMCA 사무총장, 남기찬 전 부산항만공사 사장, 김태만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교수, 김상구 한국지방정부학회 회장, 김현 한국해사컨설팅물류본부장. 2025.06.24. [email protected]
부산시가 그동안 추진해 온 해양수도 전략이 거버넌스 부재와 앵커시설·기능 부족으로 한계를 드러냈던 만큼 이번 이전이 기능 확보의 전환점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24일 부산시의회 중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오륙도연구소와 해양수도 범시민 추진회의가 공동 개최한 '해양수산부·HMM 이전 의미와 과제' 정책토론회에서 남기찬 전 부산항만공사(BPA) 사장은 "앵커시설과 기능확보가 해양수도로 나아가는 핵심"이라고 말했다.
남 전 사장은 "부산은 해운, 해양금융, 법률, 도시 매력도 등에서 1위 도시와 큰 격차를 보이지만 조선 기반 해양기술 분야에서는 1위를 차지하고 있다"며 "해수부와 HMM 본사 유치, 해양 관련 공공기관의 추가 이전, 해사전문법원 설립 등 기능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해수부 이전 방식에 대해서도 조언했다. 그는 "신청사를 먼저 짓고 옮기려 하면 갈등과 소모적 논쟁이 발생할 수 있다"며 "임대 건물에 조기 이전한 후 북항 재개발지에 신청사를 짓는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해양수도 추진 방향으로 동북아의 싱가포르 모델을 언급하며 "부산은 인프라 중심의 전략에서 해양금융, 법률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는 전략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싱가포르 해양산업 클러스터를 벤치마킹 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외에도 북극항로, 친환경, 자율운항선박 등 부산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미국의 관세정책을 해양패권 정책 등의 기회로 활용, 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전략으로 확대 추진 등을 제언했다.
발제 발표에 이어서 토론이 이어졌다. 토론은 김태만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교수 사회 아래 남 전 사장, 이현 민주당 부산진구을 지역위원장(스웨덴 세계해사대 석사), 김상구 한국지방정부학회 회장, 김현 한국해사컨설팅 물류본부장이 참석했다.
김 회장은 "해양수산부 이전을 할 때 고유 업무에 해양수도 부산 추진, 북극항로 상업화 추진 등의 역할도 추가할 수 있어야 한다"며 "그래야만 관련된 과가 생기고 부산시와 연계성도 높아진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