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국립오페라단 노조 "문체부의 졸속 지방 이전 추진, 전면 중단하라"

등록 2025.06.24 18:29:58수정 2025.06.24 23:46: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이전은 창작 역량 분산과 생태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어"

"구성원의 생계·주거 등 현실적 사안에 대한 고려는 전무"

국립오페라단이 문화체육관광부의 지방 이전 계획에 대해 반대하는 성명서를 24일 발표했다. (국립오페라단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국립오페라단이 문화체육관광부의 지방 이전 계획에 대해 반대하는 성명서를 24일 발표했다. (국립오페라단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김주희 기자 = 국립오페라단 노동조합이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립오페라단 지방 이전 추진에 대해 반대하는 성명서를 24일 냈다.

노조는 성명서에서 "문체부는 실행 가능성 검토 없이 '지방 이전'이라는 구호만 앞세워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다. 구체적인 운영 방식이나 재정 계획 없이 추진되는 이번 방안은 행정의 기본 원칙을 저버린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단순히 물리적 이전만으로 지역 오페라 인프라가 생기거나 관객층이 확대된다는 전제는 위험한 환상"이라며 "이전은 단지 장소의 문제가 아니라 창작 역량의 분산과 생태계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공연 수준 저하, 관객 감소, 인력 유출, 제작비 상승 등 연쇄적인 악영향을 불러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번 논의 과정에서 국립오페라단 구성원의 생계, 주거, 가족 동반 이주 문제 등 현실적인 사안에 대한 고려는 전무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국립오페라단 이전은 "한국 오페라의 예술적 수준과 국제적 위상을 약화시킬 수 있다"며 "이는 정책 실패를 넘어 문화예술에 대한 구조적 퇴행"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립오페라단 노동조합은 "졸속적이고 비합리적인 지방 이전 추진을 즉각 전면 중단하라"며 "이전의 타당성, 실효성, 비용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검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전면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더불어 "물리적 이전이 아닌 지역과의 지속 가능한 협업, 순회 공연 확대, 지역 문화 예술 지원 강화 등 실효성 있는 대안으로 지역 문화 균형 발전을 실현하라"고 입장을 밝혔다.

문체부는 지난 3월 '문화한국 2035'를 발표하며 국립예술단체의 지역 이전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서울예술단이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으로 이전하고, 국립오페라단, 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등 국립예술단체도 순차적으로 지역으로 옮길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