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감귤값 1.5배↑"…생산자물가 두달 연속 '상승'

등록 2024.02.21 06:00:00수정 2024.02.21 06:27:3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월 생산자물가지수 전월비 0.5%↑

농림수산품 물가지수 역대 최고치

농산물 8.3%↑…산업용도시가스 10.0%↑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설 연휴를 앞두고 사과, 배 가격이 오르면서 대체 과일로 각광 받는 감귤도 가격 조사 이래 최고가를 기록 중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감귤(상품·10개) 평균 소매가격은 5379원으로 한 달 전(4152원)과 비교해 30%(29.5%) 가까이 올랐다. 사진은 31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 감귤 코너 모습. 2024.01.31. photocdj@newsis.com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설 연휴를 앞두고 사과, 배 가격이 오르면서 대체 과일로 각광 받는 감귤도 가격 조사 이래 최고가를 기록 중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감귤(상품·10개) 평균 소매가격은 5379원으로 한 달 전(4152원)과 비교해 30%(29.5%) 가까이 올랐다. 사진은 31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 감귤 코너 모습. 2024.01.3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감귤과 사과 등 농산물 물가가 크게 뛰고, 산업용 도시가스 요금 오름세에 생산자물가가 두 달 연속 상승했다.

생산자물가는 통상 1~3개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물가 안정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21.80(2015년 100기준)으로 전월 대비 0.5% 올랐다. 제1차금속제품, 음식료품 등이 내렸지만 농산물과 서비스 등이 오른 이유가 크다.

생산자물가의 전월 대비 상승률은 지난해 7월(0.3%)부터 8월(0.9%)과 9월(0.5%) 석달 연속 반등했지만, 유가 내림세에 10월(-0.1%)과 11월(-0.4%) 하락한 후 12월(0.1%) 다시 반등한 바 있다.

생산자물가는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것으로 소비자물가지수의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전년 동월대비로는 1.3% 올라 6개월 연속 올랐다. 생산자물가의 전년대비 상승률은 지난해 6월 -0.3%로 31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후 7월(-0.3%)에도 하락했지만, 8월(1.0%)부터 상승 전환했다.

부문별로는 농림수산품 지수가 전월대비 3.8% 오른 151.26을 기록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축산물(-1.3%)이 내렸지만, 농산물(8.3%)과 수산물(0.2%)이 오르면서다.

세부적으로 감귤은 전월대비 48.8%, 사과는 7.5% 올랐고, 냉동오징어(2.8%)과 김(6.8%)도 상승했다.

공산품은 1차금속제품(-1.0%), 음식료품(-0.3%)이 내렸지만, 석탄및석유제품(0.5%)과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0.9%) 등이 올라 전월대비 0.1%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은 산업용도시가스(10.0%) 등이 올라 전월대비 1.0% 상승했고, 서비스는 정보통신및방송서비스(1.6%), 사업지원서비스(1.1%), 부동산서비스(0.2%) 등이 상승하며 전월대비 0.6% 올랐다.

유성욱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과실류 상승의 주된 이유는 작황 부진으로 제철 과일에 대한 수요도 영향을 미쳤다"면서 "감귤은 대체 수요가 되는 사과와 배 물가가 오르면서 같이 올랐다"고 말했다.

생산자물가와 수입물가지수를 결합해 산출한 1월 국내 공급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서는 1.4% 떨어졌다. 원재료(-1.5%)가 내렸고, 중간재(0.6%)와 최종재(0.8%)는 상승했다.

국내 출하를 제외한 수출을 포함하는 총산출 기준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총산출 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1% 상승했다. 공산품(1.1%), 서비스(0.6%), 농림수산품(3.8%) 등이 올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