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쏟아지는 해외직구…서울시, 전문기관과 안전성 검사 업무협약

등록 2024.05.24 06:00:00수정 2024.05.24 06:16: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3개 대표 민간 검사전문기관과 협약

안전성 검사 확대, 유해상품 반입 차단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서울 중구 서울시청 전경. 2023.07.17. kch0523@newsis.com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서울 중구 서울시청 전경. 2023.07.1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재은 기자 = 서울시가 해외 온라인플랫폼 직구 제품으로부터 시민의 건강과 안전을 체계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민간 검사전문기관과 손을 잡았다.

시는 24일 서울시청 영상회의실에서 국가기술표준원 안전인증기관인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FITI시험연구원 ▲KATRI 시험연구원과 '해외 온라인 플랫폼 소비자 보호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날 협약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이상욱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부원장, 김화영 FITI시험연구원장, 신동준 KATRI 시험연구원장 등이 참석한다.

시와 3개 기관은 신속·지속적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더 많은 해외직구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고, 시민들에게 신속하게 정보를 공유해 안전하고 건강한 소비환경 조성하자는데 뜻을 모았다.

또 식품용 기구, 위생용품, 화장품 등 품목에 대해선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의 전문 인력을 활용한 안전성 검사도 함께 진행해 다각적인 체계도 확립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민관협력 검사체계가 더욱 공고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시의성 있는 안전성 검사 확대하고 유해성이 확인된 상품의 해외직구를 철저히 차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는 해외직구 안전성에 대한 시민 불안감이 확산되자 지자체 중 처음으로 지난달 '해외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안전 확보 대책'을 발표하고 매주 품목을 선정해 안전성 검사 실시 후 결과를 시민들에게 공개하고 있다.

오 시장은 "소비자의 선택권은 충분히 보장돼야 하나 그 과정 속 숨어있는 위협으로부터 시민의 안전한 삶을 지켜내는 것은 서울시의 책무"라며, "서울시의 선도적·적극적인 안전성 검사를 시작으로 정부와 타 지자체도 각종 대응을 추진하고 있으며 오늘 협약 또한 다각적인 협력체계 확립의 시작이자 시민의 안전이 더 철저하게 보장되는 선제적인 모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