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누벨 칼레도니에 도착한 마크롱, "질서회복 때까지 치안강화"

등록 2024.05.23 18:55:1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독립 의사 강한 원주민 사회에 군도의 '프랑스령' 원칙 강조

1만6000㎞ 달려와서 12시간 체류

[AP/뉴시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23일 20시간이 넘는 장거리 비행으로 원주민 소요 사태의 남태평양 해외영토 누벨 칼로도니에 도착해 수도 경찰청을 찾아 경찰들과 악수하고 있다. 뒤에 제라르 다르마넹 내무장관과 국방장관이 따르고 있다

[AP/뉴시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23일 20시간이 넘는 장거리 비행으로 원주민 소요 사태의 남태평양 해외영토 누벨 칼로도니에 도착해 수도 경찰청을 찾아 경찰들과 악수하고 있다. 뒤에 제라르 다르마넹 내무장관과 국방장관이 따르고 있다

[서울=뉴시스] 김재영 기자 =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파리에서 장거리 비행으로 23일 아침 남태평양의 프랑스령 군도 누벨 칼레도니에 도착한 뒤 평온이 회복될 때까지 치안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13일 이 군도의 지방선거 관련 헌법개정이 파리 의회에서 논의되자 인구의 40%를 이루는 원주민 카낙이 소요를 일으켰고 약탈과 방화가 뒤따라 경찰관 2명 등 6명이 사망했다.

AP 통신 등에 따르면 마크롱 대통령은 수도 누메아의 경찰 관서를 찾아간 자리에서 소요 사태 진압을 위해 파견된 경찰 증원대가 "필요할 때까지" 군도에 배치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7월26일 개시 파리 하계 올림픽을 앞두고 프랑스 치안 초점이 올림픽에 모아져 있지만 필요하다면 올림픽 기간에도 증원대가 계속 체류한다는 것이다.

1853년 프랑스령이 된 누벨 칼레도니아의 원주민은 분리독립 추진 의지가 강해 중앙정부와 긴장 관계를 형성했으나 이번 소요는 40년 래 최악 상황으로 펼쳐졌다. 마크롱 대통령은 호주와 피지 사이에 위치한 군도가 프랑스 영토로 남아있어야 한다는 원칙을 분명히 밝혔다.

원주민 지도자들은 1주일 전 마크롱의 비디오 화상대화 제의를 거절했고 이날 직접 섬에 온 마크롱을 만났다.  마크롱은 현지 지도자들에게 질서 회복에 영향력을 발휘해줄 것을 촉구했으며 발령 중인 비상사태는 섬 곳곳을 전쟁터로 만든 바리케이드를 치우기 위해 현지 지도자들이 요청할 때만 해제될 것임을 확실히 했다.

[AP/뉴시스] 마크롱 대통령이 누벨 칼레도니 수도의 총독관저에서 지방선거로 선출된 지방정부 장관및 의원들을 만나고 있다

[AP/뉴시스] 마크롱 대통령이 누벨 칼레도니 수도의 총독관저에서 지방선거로 선출된 지방정부 장관및 의원들을 만나고 있다

바리케이드는 원주민 시위대와 시위대로부터 거주지를 보호하려는 주민들 양쪽이 세웠다. 통금이 오후6시부터 아침6시까지 실시되면서 경찰의 체포 권한이 강화되었다. 경찰은 1000명 증원으로 3000명으로 커졌다.

인구 30만 군도에서 12만 명 정도의 카낙은 프랑스 의회가 이곳의 지방선거 선거투표권 요건을 10년 이상 거주로 완화하자 원주민 영향력 축소를 노린 것이라며 시위와 폭동에 나선 것이다.

마크롱 대통령은 사전 일정을 취소하고 누벨 칼레도니 직접 방문을 결정해 21일 저녁 파리를 출발해 1만6000여 ㎞를 26시간 비행한 끝에 23일 새벽 누메아에 도착했다.

내무장관과 국방장관을 대동했으나 12시간 체류하고 파리로 돌아가는 일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