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원희룡 "미래 모빌리티 선도국가 도약 로드맵, 올 여름 마련"

등록 2022.06.09 10:00:00수정 2022.06.09 10:26:4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자율주행 로보라이드 시범운행 착수행사' 참석

국토부·서울시·현대차, 레벨4 자율주행 공동협력

강남 도심에서 자율주행 로보라이드 차량 운행

8월께 자율주행 체험 서비스 대국민 공개 예정

[서울=뉴시스] 자율주행 단계 구분. (표=국토교통부 제공)

[서울=뉴시스] 자율주행 단계 구분. (표=국토교통부 제공)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미래 모빌리티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청사진을 조만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원희룡 장관은 9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현대오토에버 사옥에서 현대자동차가 개최한 '자율주행 로보라이드 시범운행 착수행사'에 참석해 이같이 말했다.

원 장관은 "우리나라 자율주행 기업들이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협력해 나갈 수 있도록 직접 챙기겠다"며 "자율주행뿐 아니라 퍼스널 모빌리티부터 배송로봇,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미래 모빌리티가 국민 일상의 한 부분이 되도록 하고, 2030년 미래 모빌리티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로드맵을 올 여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자율주행 서비스 공개에 대비해 기술과 안전을 사전에 점검하는 자리다. 원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은 2025년 자율주행 대중교통 상용화와 2027년 레벨4 완전 자율주행 시대를 열기 위해 공동협력을 약속했다.

시범운행은 혼잡한 지역인 강남 도심 내에서 이뤄졌다. 자율주행 로보라이드 차량은 보행자·대형버스 등이 혼재하는 도로상황에서 스스로 차선변경, 좌·우회전, 유턴 등이 가능하다.

현재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로에서 자율 주행하는 레벨3 기술은 상용화 기술은 확보돼 있지만, 레벨4 이상의 기술은 세계 각국이 개발·실증 중이다. 우리나라도 대표 혼잡 구간인 강남에서 기술 실증에 착수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해 2027년 상용화에 다가선다는 계획이다.

자율주행 로보라이드는 인공지능(AI) 모빌리티 플랫폼 업체인 진모빌리티 등과 협업해 자율주행과 결합한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를 국민 체감형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시범운행을 거쳐 이르면 8월 국민 누구나 체험할 수 있도록 무상으로 서비스가 공개된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예야가, 차량 호출, 경로 지정 등을 할 수 있다.

국토부는 자율주행 관련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7곳으로 지정된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를 강남 지역을 포함해 2025년까지 시도별 1곳 이상으로 확대하고, 전국 어디에서나 자율주행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특정구역 외에는 모두 시범운행을 허용하는 네거티브 체계 전환을 추진한다.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수요자 중심의 규제혁신을 전면 실시하고, 자율주행 기업에 대한 연구 인프라 등 지원을 확대해 민간 주도의 모빌리티 혁신을 촉진한다. 또 차세대 지능형 교통체계(C-ITS) 인프라와 정밀도로지도를 전국에 구축해 자율차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레벨4 이상의 자율주행 시대를 앞당길 1조1000억원 규모의 범부처 연구개발(R&D)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