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여, 탄핵 대신 '임기 단축 개헌' 등 논의할 듯…친한계 "윤, 한동훈 요구 수용"(종합)

등록 2024.12.07 14:58:56수정 2024.12.07 15:24:1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여 의총서 '질서 있는 퇴진' 의견 지배적

한동훈 "여 책임감 있는 논리·역할 필요"

장동혁 "탄핵안 가결되면 최고위원 사퇴"

윤 대통령 2선 후퇴·임기 단축 개헌 나설 듯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서범수(오른쪽) 국민의힘 사무총장과 나경원(왼쪽), 신성범 의원이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도중 나와 대화한 뒤 이동하고 있다. 2024.12.06.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서범수(오른쪽) 국민의힘 사무총장과 나경원(왼쪽), 신성범 의원이 6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도중 나와 대화한 뒤 이동하고 있다. 2024.12.0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하지현 한재혁 기자 = 국민의힘이 7일 표결이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당론으로 반대할 것으로 보인다. 한동훈 대표와 친한(친한동훈)계 의원들도 탄핵 반대로 입장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부터 이어진 당 의원총회에서는 윤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분출됐고, 한동훈 대표는 "여당의 책임감 있는 논리와 역할이 필요하다"며 당 역할 필요성에 힘을 실은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의 2선 후퇴와 임기 단축 개헌 카드 등을 대안으로 제시할 전망이다.

뉴시스 취재에 따르면 한 대표는 이날 열린 당 의원총회에서 '탄핵 반대' 주장과 관련해 "당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반대한다는 논리는 설득력도 없고 맞지도 않다"면서도 "여당이 책임감 있는 논리와 역할을 가지고 가야 한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탄핵을 반대하려면 여당의 설득력 있는 논리가 필요하다는 취지다. 다만 '탄핵 반대'와 관련한 직접적인 언급은 하지 않았다고 한다.

장동혁 최고위원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윤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될 경우 최고위원직을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한 친한(친한동훈)계 인사는 뉴시스와 통화에서 "한 대표는 계속해서 (윤 대통령이) 국정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이야기해 왔다. 전날부터 대통령을 만나며 요구했던 내용을 대통령이 받아들인 것"이라며 "한 대표의 승부수가 통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한 대표가 2선 후퇴를 요구하지 않았으면 대통령이 사과나 국정 운영 일임, 임기 단축을 받아들였겠나"라며 "대통령이 저렇게까지 이야기했으니 우리 당으로선 탄핵안을 가결시킬 명분이 별로 없다"고 밝혔다.

다른 친한계 인사는 "한 대표는 탄핵에 반대하는 입장"이라며 "탄핵만 방법인 건 아니다. 어제 (의원총회에서) 질서 있는 퇴진을 이야기하는 분들이 많았고, 시간이 필요하다는 논리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 친한계 의원은 "(한 대표가) 공식적으로나 비공식적으로 (탄핵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가져왔다"고 말했다. 이날 한 대표의 '조기 퇴진' 요구에는 "대통령께서 임기를 채우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의원들의 공감대가 있었다"고 밝혔다.

당초 당내 처음으로 탄핵에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던 친한계 6선 중진인 조경태 의원도 입장을 선회했다.

조 의원은 이날 의원총회 도중 기자들과 만나 "일단 한 대표의 뜻을 따르기로 결정했다"며 "윤 대통령의 조기 퇴진 (로드맵을) 빨리 짜는 게 중요하다. 조기 퇴진에 방점을 두면 좋겠다"고 밝혔다.

탄핵안 표결을 두고도 "어쨌든 대통령이 수사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지겠다고 했으니 그 부분까지 포함해서 (할 거다). 대통령의 변화를 좀 더 지켜보자는 것"이라며 부결 가능성을 시사했다.

조 의원과 함께 탄핵 찬성 입장을 밝혔던 안철수 의원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탄핵에) 조건부로 반대한다"며 "대통령이 당에 (국정운영을) 일임하겠다고 했으니 (한 대표가) 거기에 대해 확실하게 국민께 말씀드려야 한다. 그게 바로 질서 있는 퇴진"이라고 강조했다.

친윤(친윤석열)계 윤상현 의원은 기자들에게 "한 대표의 전날 '직무집행정지' 의견은 개인 의견이었고, 기존 (탄핵 반대) 당론을 바꾸지 못했다"며 "단일 대오로 대통령 탄핵을 당론으로 반대하고 정치적 책임을 질 것"이라고 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대국민 담화를 통해 "이번 계엄 선포와 관련해 법적, 정치적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겠다"며 "저의 임기를 포함해 앞으로의 정국 안정 방안은 우리 당에 일임하겠다. 향후 국정 운영은 우리 당과 정부가 함께 책임지고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대국민 담화 직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의 정상적인 직무수행이 불가능한 상황이고, 대통령의 조기 퇴진은 불가피하다"며 "국무총리와 당이 민생 등 중요 상황들을 긴밀히 논의해 민생이 고통받고 대외 상황이 악화하는 일을 막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전날 "윤 대통령의 조속한 직무집행 정지가 필요하다"고 밝히면서 사실상 탄핵에 찬성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그러나 이날 대통령의 '조기 퇴진'을 언급하면서 다시 당론에 따라 탄핵에 반대하는 쪽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와 회동을 마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실로 들어서고 있다. 2024.12.07.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한덕수 국무총리와 회동을 마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당대표실로 들어서고 있다. 2024.12.07.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