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2060년까지 고준위 방폐장 짓는다…부지선정 절차·특별지원금 지원

등록 2025.03.18 11: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고준위 방폐물 관리 특별법 국무회의 의결

대통령령 제정·국무총리 소속 관리위 신설

[세종=뉴시스] 월성 원전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맥스터) 전경.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월성 원전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맥스터) 전경.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김동현 기자 = 원전 가동으로 발생하는 사용 후 핵연료의 영구 처분 시설이 마련된다. 정부는 2050년까지 중간 저장 시설, 2060년까지 영구 폐기 시설을 짓는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법률안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특별법은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된다.

특별법에서는 중간저장시설 2050년, 처분시설은 2060년까지 확보하겠다는 목표시점을 제시했으며 이를 위해 민주적이고 과학적인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부지선정 절차를 마련했다.

부지선정을 위해선 기초자치단체(시·군·구) 신청 후 2단계에 걸친 부지적합성 조사(기본·심층조사), 주민투표 등을 거치도록 했다. 또 관리시설 유치지역과 주변지역에 대해 특별지원금 등 폭넓은 지원이 이뤄지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했다.

이와 함께 원자력발전소 부지 내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을 설치할 경우 주변지역 의견수렴 절차와 지원방안을 법제화하는 한편, 그 규모를 원자로 설계수명 기간 동안의 발생예측량으로 제한했다. 중간저장시설이 준공되면 부지 내 저장시설에 보관 중인 사용후핵연료를 이전하도록 명시했다.

신설되는 국무총리 소속 행정위원회(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위원회)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업무를 전담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하위법령(대통령령) 제정을 포함하는 후속조치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법률에서 위임된 의견수렴 절차와 지원방안 등 주요 사안에 대해 전문가·원전지역·이해관계자 및 일반국민들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대통령령에 반영하고 관리위원회 신설을 위한 관계부처 협의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세종=뉴시스】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2019.09.03.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2019.09.03.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