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화재 원인, 신속·정확하게 밝힌다…권역별 '화재감정기관' 확대

등록 2025.04.16 06:00:00수정 2025.04.16 07:16: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소방청, 5개 권역 나누고 권역별 1개 이상 지정 추진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부산경찰청, 부산소방재난본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립재난안전원 등이 지난 2월 16일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 신축 공사장 화재현장에서 화재원인을 밝히기 위한 합동감식을 벌이고 있다. 2025.02.16. yulnetphoto@newsis.com

[부산=뉴시스] 하경민 기자 = 부산경찰청, 부산소방재난본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립재난안전원 등이 지난 2월 16일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 신축 공사장 화재현장에서 화재원인을 밝히기 위한 합동감식을 벌이고 있다. 2025.02.1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소방청은 전문적이고 신속한 화재조사 기반을 다지기 위해 전국 권역별로 '화재감정기관'을 확대 지정하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화재감정기관은 화재 발생 시 화재 원인, 발화 지점, 확산 경로, 손실 규모 등에 대한 과학적 감정 결과를 도출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소방의 화재 조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소방청장이 지정한다.

현재 소방청이 지정한 화재감정기관은 '경기소방학교'와 '서울소방재난본부'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화재 유형이 갈수록 복잡하고 대형화됨에 따라 소방청은 전국을 5개 권역(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제주권)으로 나누고, 각 권역별로 1개 이상의 화재감정기관을 지정할 수 있도록 제도 기반을 정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도 소방본부 및 소방학교 등 내부 기관은 물론 전문 화재조사 역량을 갖춘 외부 전문기관까지 포함해 화재감정기관 지정 확대를 위한 컨설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컨설팅은 대상 기관의 인프라와 인력, 장비 확보 여부 등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실시된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전국 주요 권역에 최소 5곳 이상의 화재감정기관을 추가로 지정할 계획이다.

박근오 소방청 119대응국장은 "화재감정기관의 권역별 확대는 전국 어디서나 전문적이고 신속한 화재 원인 감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과학적 화재조사 기반을 전국적으로 균형 있게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