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의대생 유급 이달까지 보류를"…서울시의사회장의 호소[인터뷰]

등록 2025.04.16 16:19:52수정 2025.04.16 18:00: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황규석 서울특별시의사회장 인터뷰

"의사선배들 의대생 복귀 독려할 것"

"지금 의학교육 연착륙 방안 찾아야"

"수업일수, 방학없애면 채울수 있어"

[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황규석 서울시의사회장. 2025.04.16. photo1006@newsis.com

[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황규석 서울시의사회장. 2025.04.1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의대생들이 이달 중, 늦어도 5월 이내 복귀할 수 있도록 독려할테니 (의대 학장들은) 유급 결정을 보류했으면 합니다. 현 상황에서 의학교육이 가능하도록 만들기 위한 고육지책 입니다."

황규석 서울시의사회 회장은 16일 뉴시스와 가진 전화 인터뷰에서 의대생들이 등록 후 수업을 계속 거부하면서 집단 유급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는 데 따라 의대생 유급 처리를 연기해 줄 것을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회·KAMC)에 요청했다.

전국 40개 의대 학장들 모임인 KAMC에 의대생 유급 결정을 보류해 줄 것을 공개 요청한 것은 황 회장이 처음이다.

황 회장은 "당장 학칙에 따른 원칙적 처리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면서 "의학교육이 가능한 환경을 만들어 나가고 의료시스템이 더 이상 무너지는 것을 막으려면 대규모 의대생 유급 사태만은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전국 40개 의대의 수업 참석률은 20%대로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 학장들은 의대생들을 향해 수업에 복귀하지 않으면 각 학교 학칙에 따라 유급을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KAMC는 지난 15일 입장문을 내고 "교육부, 의총협(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은 2025학년 학사 운영은 학칙 준수가 기본 방침이며 학사 유연화 계획이 없음을 여러 번 확인했고 의대 학장은 방침에 예외를 둘 수 없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대학들은 학기 말 유급 여부를 결정하는 위원회를 열고 최종 유급 대상자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은 황 회장과의 일문일답.

-의대생들이 수업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대규모 유급 사태가 현실화하고 있다.

"KAMC는 오는 18일을 마지노선으로 보고 출석하지 않으면 유급을 결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는데요. 의사 선배들이 (의대생 복귀를 위해) 노력할 것이고 정부와 대화 테이블을 만들어 협상에 나설테니 의대생 유급 처리를 보류해 줄 것을 요청드립니다."

-의대생 유급을 막기 위해 대학들은 학사 운영을 유연화하고 있는데요. 언제까지 유급 처리를 보류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학교마다 학칙과 사정이 다르지만, 최소한의 수업이 가능한 4월이나 5월 말 이내로 봅니다. 선배 의사들이 노력해서 이 기간 내 의대생 복귀를 이끌어낸 후 방학(예과 약 10주·본과 2~4주)을 없애는 등의 방법으로 최대한 수업 일수를 확보하자는 것입니다."

-원칙적 대응을 견지하는 의대 학장들과 달리 의대생 유급 처리 보류를 제안하신 배경을 설명해 주신다면요.

"지난해 의정 갈등으로 학교를 떠난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의학교육이 회생 불가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절박함 때문입니다. 의대생들이 복귀하지 않아 내년에 24·25·26학번이 모두 1학년이 돼 1만 명이 한꺼번에 수업을 듣게 되는 '트리플링(tripling)'이 벌어지면 의학 교육이 아예 불가능해져 제대로 된 의사를 배출할 수 없게 됩니다."

-의대생 유급 처리를 보류하게 되면 특혜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도 있는데요.

"(의대 학장들에게) 의대생 개개인에게 원칙을 어기고 특혜를 주거나 학생들을 봐달라는 것이 절대 아닙니다. 의학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고육지책일 뿐이죠. 학생들이 올해 또 유급되면 의학 교육이 더 망가지게 되고 의학 교육 정상화에서 더 멀어지는 악순환에 갇히게 됩니다. 장기적으로 의사 배출에 차질이 빚어져 국민의 생명과 건강이 위협받는 상황도 막아야 하고요."

-대선 정국이여서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의정 갈등 해소가 쉽지 않은 상황인데요. 의대 교육이 더 무너지는 것을 막으려면 의료계와 정부가 어떻게 해야 할까요?

"6월 대선을 치르고 차기 정부가 들어서면 의대생이 돌아올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는 생각한다면 오산입니다. 구체적인 의료 정책 관련 대선 공약이 나와봐야 알겠지만 현재로선 의료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장담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의료계가 현 정부에서 (의학교육)연착륙 방안을 어떻게든 찾아야 한다는 것이죠. 물론 정부도 의대 증원·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등 추진 과정에서의 과오를 인정하고 책임자를 문책하는 결자해지의 자세가 필요합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