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 별세… 조문객 발길 이어져 [뉴시스Pic]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가 경기 용인시 쉴낙원 경기장례식장에 마련돼 있다.이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2025.05.12. jtk@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5/12/NISI20250512_0020806357_web.jpg?rnd=20250512124504)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가 경기 용인시 쉴낙원 경기장례식장에 마련돼 있다.이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2025.05.1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류현주 기자 =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가 지난 11일 별세했다. 향년 97세.
이 할머니는 이날 오후 7시 7분께 경기 성남의 한 요양병원에서 별세했다. 1928년 부산에서 태어난 이 할머니는 15세에 중국의 일본군 위안소로 끌려가 고초를 겪었다.
해방 뒤에도 중국에 머물다 2000년 6월 고국으로 돌아왔다.
이 할머니는 생전 일본과 미국·호주·독일 등 전 세계를 찾아 피해를 증언하고 일본의 제대로 된 사과를 촉구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의 사과를 받지 못한 채 생을 마감하게 됐다.
이 할머니가 별세하면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이 할머니의 빈소는 경기 용인시 쉴낙원에 마련됐으며 오는 14일 발인한다.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경기 용인시 쉴낙원 경기장례식장에서 조문객들이 조문하고 있다. 이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2025.05.12. jtk@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5/12/NISI20250512_0020806349_web.jpg?rnd=20250512124504)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경기 용인시 쉴낙원 경기장례식장에서 조문객들이 조문하고 있다. 이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2025.05.12. [email protected]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경기 용인시 쉴낙원 경기장례식장에서 조문객들이 조문하고 있다. 이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2025.05.12. jtk@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5/12/NISI20250512_0020806355_web.jpg?rnd=20250512124504)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경기 용인시 쉴낙원 경기장례식장에서 조문객들이 조문하고 있다. 이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2025.05.12. [email protected]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경기 용인시 쉴낙원 경기장례식장에서 조문객들이 조문하고 있다. 이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2025.05.12. jtk@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5/12/NISI20250512_0020806350_web.jpg?rnd=20250512124504)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경기 용인시 쉴낙원 경기장례식장에서 조문객들이 조문하고 있다. 이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2025.05.12. [email protected]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경기 용인시 쉴낙원 경기장례식장에서 조문객들이 조문하고 있다. 이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2025.05.12. jtk@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5/12/NISI20250512_0020806346_web.jpg?rnd=20250512124504)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경기 용인시 쉴낙원 경기장례식장에서 조문객들이 조문하고 있다. 이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2025.05.12. [email protected]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경기 용인시 쉴낙원 경기장례식장에서 조문객들이 조문하고 있다. 이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2025.05.12. jtk@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5/12/NISI20250512_0020806351_web.jpg?rnd=20250512124504)
[용인=뉴시스] 김종택 기자 =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의 빈소가 마련된 경기 용인시 쉴낙원 경기장례식장에서 조문객들이 조문하고 있다. 이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240명 중 생존자는 6명이 됐다. 2025.05.12. [email protected]
![[광주(경기)=뉴시스] 김선웅 기자 =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故 이옥선 할머니와 동명이인)가 12일 경기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집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8월 14일) 기념식 및 故 이옥선 할머니 흉상 제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08.12. mangusta@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3/08/12/NISI20230812_0019993692_web.jpg?rnd=20230812114500)
[광주(경기)=뉴시스] 김선웅 기자 =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故 이옥선 할머니와 동명이인)가 12일 경기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집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8월 14일) 기념식 및 故 이옥선 할머니 흉상 제막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3.08.12. [email protected]
![[광주(경기)=뉴시스] 김선웅 기자 =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故 이옥선 할머니와 동명이인)가 12일 경기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집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8월 14일) 기념식 및 故 이옥선 할머니 흉상 제막식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2023.08.12. mangusta@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3/08/12/NISI20230812_0019993693_web.jpg?rnd=20230812114500)
[광주(경기)=뉴시스] 김선웅 기자 = '위안부' 피해자 이옥선 할머니(故 이옥선 할머니와 동명이인)가 12일 경기 광주시 퇴촌면 나눔의집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8월 14일) 기념식 및 故 이옥선 할머니 흉상 제막식에서 박수를 치고 있다. 2023.08.12.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