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본회의·상임위원장 합의 불발…與 "내일 오전 11시 다시 회동"
민주 "7월 4일까지 추경 통과하려면 이번주 본회의"
국힘 "지난해 민주당서 상임위 일방 결정, 합의 아냐"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문진석(왼쪽 사진)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가 상임위원장 배분 등 협상을 위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문진석 의원실로 각자 향하고 있다. 2025.06.23. kkssmm99@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6/23/NISI20250623_0020861118_web.jpg?rnd=20250623154640)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문진석(왼쪽 사진)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가 상임위원장 배분 등 협상을 위해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문진석 의원실로 각자 향하고 있다. 2025.06.2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창환 정윤아 한재혁 한은진 기자 = 여야는 23일 국회 본회의 일정 및 상임위원장 배분 등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으나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재차 합의가 불발됐다. 이들은 이튿날 오전 국회의장 주재로 모이는 여야 원내대표단 회동에서 다시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운영수석부대표와 비공개 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오늘까지 (여야가 만나) 네 번째 얘기했다. 저희 입장은 변화된 것이 없다"며 "국민의힘은 '법제사법위원장을 넘겨달라'고 얘기했다"고 했다.
그는 이어 "1년 전 1기 원내지도부가 약속했던 것을 지키면 되는 것이다. 지금은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를 논의할 시기도 아니다"라며 "여러 국제 정세도 (우리)경제에 미치는 상황이 어렵게 전개되는데 여야가 힘을 합쳐 빨리 본회의를 열어 추경(추가경정예산)안이나 인사청문회라든가 여러 가지를 통과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로 시간을 지체할 수 없다는 것이 우리 당 입장"이라며 "야당에서는 '법사위를 (저희가) 가져가면 의회 독주할 것 같다'고 하는데 민주당은 가다가도 국민 비판이 거세면 멈출 수 있는 정당이라고 얘기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이번 임시회 회기 안에 추경안을 통과시키려면 이번 주 내로 본회의를 열어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문 수석부대표는 "가장 중요한 것은 임시회가 (오는) 7월 4일 끝난다. 그때까지 추경안이 통과하려면 이번 주까지는 본회의를 열어야 한다"면서도 "(국회의장 주재로) 내일 (오전) 11시에 여야 원내대표단이 만나는 것으로 일정이 잡혀 있다. 한 번 더 얘기를 들어봐야 한다"고 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양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며 협상이 결렬됐다고 밝혔다.
유상범 국민의힘 수석부대표는 회동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문진석 수석은 '작년에 여야 간 합의로 상임위원장을 배분했기 때문에 올해는 그냥 가는 것이 맞다'고 주장하지만, 작년의 경우 총선 이후에 민주당이 12개 상임위를 일방적으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나머지 7개에 대해 국민의힘에 상임위원장을 받을지 말지를 결정하라고 통보한 것이다, 이것은 합의된 것이 아니다"라며 "190석 거대 여당으로서 지금 국정을 운영하고 있는 상황에서 법사위원장, 예결위원장, 운영위원장을 모두 민주당이 갖고 간다는 것은 결국 이재명 민주당의 일당 독재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말"이라고 했다.
또 "겉으로는 혁신을 외치지만 실제로는 양보 없는 일당 독재의 모습"이라며 "이와 같은 일방 독주를 계속한다면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다수당의 폭정에 의한 독재의 모습으로 흘러갈 것이 우려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비정상화된 상임위원장 배정을 정상화시켜달라는 저희 요구에 민주당이 거부했기 때문에, 본회의 개최 일정을 협의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었다"며 "협상은 오늘 끝났다. 더 이상 협상이 진행되긴 어렵다는 것이 제가 받은 인상, 결론"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여야 원내지도부는 지난 18~19일 회동에 나섰으나 상임위원장 배분 및 본회의 일정에 견해차를 보이면서 만남이 공전한 바 있다.
민주당은 국회 법제사법위원장과 예산결산특별위원장 등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와 관련해 지난 1기 원내지도부 체제에서 이뤄진 '2년 임기' 원 구성 협상 내용을 따라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운영위원장·예산결산특위원장·법사위원장 등을 한 당이 모두 맡은 전례가 없었다고 주장하며, '야당의 견제' 필요성을 이유로 법사위원장 자리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