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주시장, 민형배 30%·강기정 22%…부동층 30% 변수[지선 D-1년]

등록 2025.06.23 18:01:00수정 2025.06.23 20:58: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뉴시스 광주전남·무등일보·광주MBC 공동조사

민주당 후보 적합도 민형배 30%·강기정 25%

문인·이병훈·이형석, 야당후보 한자릿 수 기록

부동층 29~30% 달해 향후 선거판세 요동칠 듯

[광주=뉴시스]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시장 후보 선호도. (그래픽=최희영)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시장 후보 선호도. (그래픽=최희영)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맹대환 기자 =
[광주=뉴시스]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광주시장 후보 적합도. (그래픽=최희영)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더불어민주당 광주시장 후보 적합도. (그래픽=최희영)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내년 6월3일 치러지는 제9회 지방선거를 1년 앞둔 가운데 광주시장 후보군 선호도 조사에서 민형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현역인 강기정 광주시장을 오차범위 밖에서 따돌리고 1위를 차지했다.

더불어민주당 후보군만을 대상으로 한 적합도 조사에서는 민 의원과 강 시장이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였고, 부동층이 29~30%에 달해 향후 민주당 경선에서 후보 단일화 등 이합집산에 따른 혼전이 예상된다.

23일 뉴시스 광주전남본부와 무등일보, 광주MBC가 코리아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해 지난 20~21일 광주에 거주하는 만18세 이상 남녀 804명을 대상으로 제9회 지방선거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전체 광주시장 후보군 선호도 조사에서 민 의원이 30%를 얻어, 22%에 그친 강 시장을 오차범위(±3.5%포인트) 밖에서 8%포인트 앞서며 1위를 기록했다.

문인 북구청장 6%, 김정현 국민의힘 광주시당위원장 4%, 이형석 전 국회의원 3%, 이병훈 전 국회의원 2%, 강은미 민주노동당 광주시당위원장 2%, 김주업 진보당 광주시당위원장 1%, 없음·모름·무응답 29%다.

민 의원은 40대(39%), 광산구(43%), 진보성향층(37%), 민주당 지지층(36%)에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강 시장은 70세 이상(26%), 동구(30%), 농임수산업(62%), 중도·진보성향층(각각 23%), 민주당 지지층(25%)에서 지지도가 높게 나왔다.

민주당 후보만을 대상으로 한 적합도 조사에서는 민 의원이 30%, 강 시장이 25%로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였다.

문 구청장(7%), 이형석·이병훈 전 의원 각각 4%순이다. 없음·모름·무응답은 30%다.

이번 여론조사는 제21대 대통령선거 이후 실시돼 민주당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 흐름과 강성 지지층의 적극적인 의사 표현이  분산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전체 후보 선호도와 민주당 후보 적합도의 부동층이 각각 29%, 30%에 달해 선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누가 부동층을 흡수하느냐에 따라 판세가 크게 흔들릴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 후보 단일화 등 이합집산이 나타나면 선거전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유권자들은 차기 광주시장의 가장 중요한 경력으로 '중앙과 지방정치·행정경험(46%)'을 꼽았다. 이어 '지방행정과 지방의회 등 지역활동(27%)', '중앙 행정부처의 장·차관 등 관료 출신(8%)', '시민사회단체 경력(6%)', '법조인·교수 등 전문직(4%)', 모름·무응답 8% 순으로 집계됐다.

강기정 광주시장의 시정 운영에 대해서는 후보군 선호도와 민주당 후보 적합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줬다. 긍정 평가가 57%, 부정 평가가 35%, 모름·무응답이 8%다.

이번 여론조사는 광주에 거주하는 만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한 무선전화 안심번호(100%)를 활용해 전화면접으로 진행했다.

4474명과 통화를 시도해 이 중 804명이 응답을 완료, 응답률은 18.0%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5%포인트다.

피조사자는 2025년 5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에 따라 지역별·성별·연령별 가중치를 부여(셀가중)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