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그룹, 자사주 매입 늘었지만…소각률 '10% 미만'
리더스인덱스, 최근 3년 자사주 현황 분석 결과
주주환원보다 경영권 방어 수단 활용에 그쳐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50대 그룹이 최근 3년간 자사주 보유를 꾸준히 늘렸지만 소각 등 주주환원에 나선 곳은 열 중 한 곳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리더스인덱스가 최근 3년(2022~2024년) 2265개 상장사(코스피 791개, 코스닥 1474개)의 자사주 보유 및 소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자사주를 보유한 곳은 총 1666개사로 지난 2022년 1601개사 대비 증가했다.
기업들이 보유한 자사주의 총 가치는 2022년 말 58조4694억원에서 지난해 말 기준 64조4580억원으로 10.2% 증가했다.
통상 자사주 매입은 시장 유통 주식 수를 줄여 일시적으로 주가를 부양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사들인 주식을 소각해 발행 주식 수 자체를 줄이지 않고선 주주 환원을 기대하기 어렵다.
국내 증시에서 이 기간동안 자사주를 소각한 기업은 전체의 8.5%(142개사)에 불과했다. 증권시장별로는 코스피가 9.5%(75개), 코스닥이 4.5%(67개)의 비중을 차지했다.
리더스인덱스는 국내 기업들이 자사주를 소각하기보다는, 경영권 방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자사주를 보유한 상장사 중 자산 기준 50대 그룹의 지배구조 핵심 계열사 64곳의 현황을 별도로 분석한 결과 이들의 자사주 보유 비율은 97%에 달한다. 전체 상장사 평균(73.6%)을 크게 웃돈다.
최근 3년 동안 자사주 보유 비중을 가장 많이 늘린 그룹은 영풍, 신세계, 셀트리온 순이다. 이중 영풍은 핵심 계열사인 고려아연이 경영권 분쟁으로 자사주 비중을 0%에서 12.3%까지 끌어올리면서 11.2%p(포인트) 상승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