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곽상도 소환 임박...하나은행 컨소시엄 무산 위기 중재 정황
"하나銀 컨소시엄 무산 위기 넘기는 데 관여" 의혹
검찰, 50억은 사업 편의 봐준 대가로 지급했다 의심
법원 통해 퇴직금 동결…곽 의원 이번 주 소환 전망
곽상도 "일면식도 없는 관계…전혀 사실무근" 부인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곽상도 의원. (공동취재사진) 2021.10.02. photo@newsis.com
28일 법조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대장동 의혹 전담수사팀은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를 비롯한 관계자들 조사 과정에서 김씨가 과거 곽 의원을 통해 하나은행 컨소시엄이 무산될 뻔했던 상황을 넘기는 데 도움을 줬다는 정황을 포착했다.
당시 개발 사업 공모 과정에서 하나은행 컨소시엄과 경쟁하던 산업은행 컨소시엄에 참여했던 한 관계사 측 인사가 하나금융지주 회장에게 함께하자고 제안했고, 사업이 무산될 것을 우려한 김씨가 곽 의원을 통해 이를 막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검찰은 곽 의원 아들 병채씨가 화천대유로부터 받은 50억원은 사실상 이에 대한 대가로 지급한 것이라고 의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더불어민주당 민형배 의원은 지난 18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경기도청 국정감사에서 2013년 6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중국 방문 때 하나금융 회장이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 것을 들어 이 같은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민 의원은 "당시 곽상도 민정수석이 현지에서 발생한 하나은행 측 인사의 개인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준 걸로 알려져 있고, 대장동 개발에 함께할 금융사 혹은 돈줄이 필요했던 김만배씨가 곽 의원 소개로 하나은행 회장의 도움을 받는다"며 "중국방문 당시 진 신세를 갚았다는 의혹이고 세 사람은 대학 동문"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곽 의원 측은 "전혀 사실 무근이고 일면식도 없는 관계"라고 부인했다.
앞서 검찰은 50억원을 뇌물로 판단해 김씨의 구속영장 청구서에 혐의로 포함시켰다. 검찰은 수사 초기부터 김씨와 곽 의원이 2015년 대장동 개발 사업의 수익을 두고 논의하는 정황을 포착해 조사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사팀은 이르면 이번주 곽 의원을 소환해 관련 의혹을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또 검찰은 최근 50억원에 대해 법원에 추징보전을 청구한 바 있고, 법원은 이를 받아들였다. 추징보전은 범죄로 얻은 것으로 의심되는 수익을 피고인들의 유죄가 확정되기 전까지 동결시키는 절차로, 법원은 "향후 추징 재판을 집행할 수 없게 될 염려가 있다"며 '기소 전 추징보전'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up@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