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I, '수명 늘린' 이차전지용 음극재 제조기술 민간에 이전
27일 ㈜마샬캡과 기술이전 협약식 갖고 본격 상용화 나서
김양수 박사의 티타늄 기반 음극용 소재…고용량·고안정성·장수명
![[대전=뉴시스] 고성능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재 제조기술을 개발한 KBSI 전주센터 김양수 책임연구원. *재판매 및 DB 금지](http://image.newsis.com/2023/09/27/NISI20230927_0001375801_web.jpg?rnd=20230927111812)
[대전=뉴시스] 고성능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재 제조기술을 개발한 KBSI 전주센터 김양수 책임연구원. *재판매 및 DB 금지
KBSI는 27일 대전 본원에서 마샬캡과 고성능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재 제조기술 이전 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20억원의 정액기술료를 받는 조건이다.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재는 기존에 흑연을 기반으로 제조돼 왔다. 하지만 흑연은 단위 부피당 에너지밀도가 낮고 높은 방전전압에서 발생하는 전지의 오작동, 과충전 등에 의한 발화·폭발의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흑연 음극재의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다양한 음극재가 개발되고 있지만 충·방전시 부피 팽창, 낮은 이온전도 등 아직 기술상의 난제가 많다.
이번에 민간이전을 통해 상용화에 나선 기술은 KBSI 전주센터 김양수 박사가 개발한 티타늄을 기반으로 제조된 음극용 소재다.
이 음극재는 부피 변화가 없고 다양한 온도 범위에서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가지며 고용량과 긴 수명을 갖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급격히 성장하는 세계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재 시장에서 이 기술은 새로운 게임 체인저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마샬캡은 산업용 장비 제조 등에 경쟁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이번 이전 기술에 기반해 리튬이차전지 산업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신규 투자 및 추가 기술개발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속한 시장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양수 박사는 "이번에 이전하는 기술은 기존 음극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원천소재로 리튬이차전지를 이용하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며 "마샬캡과 추가 연구개발 및 노하우 공유를 통해 고용량, 고안정성, 긴 수명을 갖는 우수한 이차전지용 소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마샬캡 양관모 대표는 "리튬이차전지는 향후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돼 새로운 시장 트렌드에 맞춰 우수한 기술을 선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이전 받은 기술로 세계 리튬이차전지 음극재 시장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KBSI 양성광 원장은 "산업계의 수요 동향을 적극적으로 살피고 요구사항 반영과 기술적 한계 극복을 위해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우수 연구성과에 대한 비즈니스 매칭을 지속 강화해 KBSI의 보유 기술이 국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힘쓸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ys0505@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