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전국 물 부족 지역 10곳, 지하수저류댐 설치 확대한다

등록 2024.01.16 12:00:00수정 2024.01.16 13:27: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환경부, 지하수저류댐 확대 설치 계획 발표

지하 차수벽에 지하수 저장…가뭄 등 활용

[완도=뉴시스] 이창우 기자=한화진 환경부장관과 문금주 전남도 행정부지사가 지난해 1월11일 완도군 보길도 지하수저류댐 시험가동, 해수담수화 선박 운영 현장을 방문해 관계자로 부터 현황을 청취하고 있는 모습. (사진=전남도 제공) 2023.01.11. photo@newsis.com

[완도=뉴시스] 이창우 기자=한화진 환경부장관과 문금주 전남도 행정부지사가 지난해 1월11일 완도군 보길도 지하수저류댐 시험가동, 해수담수화 선박 운영 현장을 방문해 관계자로 부터 현황을 청취하고 있는 모습. (사진=전남도 제공) 2023.01.1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환경부는 올해부터 전국의 상습 물 부족 지역 10곳을 대상으로 지하수저류댐 설치사업을 확대해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지하수저류댐은 지하에 차수벽을 설치해 지하수를 저장하는 시설로, 지난 2020년부터 상수도 설치가 어려워 가뭄 시 생활용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섬 지역 중심으로 시범 설치해왔다.

환경부는 2020년 옹진군 대이작도를 시작으로 2021년 영광군 안마도, 2023년 완도군 보길도 등 섬 지역 3곳에 지하수저류댐 설치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완도군 보길도에 설치된 지하수저류댐의 경우 지난해 초 발생한 극한 가뭄 때 보길도와 인근 노화도 주민 8000여 명이 약 50일간 사용가능한 물 12만t을 인근 저수지로 공급해 가뭄 해결에 도움을 줬다.

환경부에 따르면 일본에도 18개 지하수저류댐이 설치됐고 전 세계적으로 약 1000개의 지하수저류댐이 있다.

환경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지하수저류댐의 물 공급 효과를 확인한 만큼, 올해 지하수저류댐 설치사업 대상지를 10곳으로 늘렸다.

올해는 섬 지역 외에 내륙 물 공급 취약 지역까지 설치 지역을 확대한다.

대상지 10곳은 통영시 욕지면(욕지도), 옹진군 덕적면(덕적도, 소야도), 양평군 양동면, 강릉시 연곡면, 영동군 상촌면, 청양군 남양면, 영덕군 영해면, 보령시 주산면, 완도군 소안면(소안도) 등이다.
[서울=뉴시스] 지하수저류댐 추진현황. (사진=환경부 제공) 2024.01.1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지하수저류댐 추진현황. (사진=환경부 제공) 2024.01.1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해당 지역들은 지난해에도 가뭄 시 단수 등 제한 급수가 시행됐거나 농업용수·공업용수가 부족한 지역이다.

이 중 욕지도, 덕적도, 양동면 등 3곳은 올해 상반기 중에 착공에 들어가며, 나머지 7곳은 지하수저류댐 설계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 지하수저류댐 설치 유망지 추가 10곳에 대해서도 지형·지질, 규모, 물량 등을 상세하게 조사해 향후 설치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들 대상지들은 국가물관리위원회가 지난해 4월 의결한 '영산강·섬진강유역 중·장기 가뭄대책'과 환경부가 그해 6월 공고한 ·제4차 지하수관리기본계획(2022~2031)' 등에서 지하수저류댐 설치사업 유망지점으로 제안된 곳들이다.
 
한편 환경부는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지하수를 활용하기 위해 '지하수자원확보시설 중장기전략'을 최근 수립했으며 가뭄피해, 용수부족 예상지역 등을 고려해 전국 지하수저류댐 유망지 80곳에 대한 설치 우선순위를 설정했다.

이중 20곳은 2030년까지 지하수저류댐을 확대 설치할 계획이고, 나머지 지역은 추후 용수 공급 전망과 인구 변화 등을 고려해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하수저류댐은 평균 50m 정도 지하 공간을 활용해 굉장히 깊은 공간을 활용하는 것은 아니어서 기본적으로 설치하는 공간 깊이에 대해서는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된다. 또 지하수저류댐 설치 시 기본적으로 내진 설계는 포함해서 진행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하수저류댐을 설치할 때 상류와 하류지점에 수량 측정망을 설치해 모니터링하고, 혹시라도 하류 지역 물 부족으로 지역 주민 민원이 제기될 수 있기 때문에 수위 변동의 경우 지하수저류댐 가동을 중단하는 등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지하수저류댐 뿐만 아니라 산간지역에 물막이벽을 설치한 후 모래 등을 채워 물을 저장·이용하는 '샌드댐'을 설치하고, 지하수량 확보를 위해 물이 많은 시기에 지표수를 땅속에 인공적으로 함양(채움)하는 등 다양한 지하수 확보 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김고응 환경부 물이용정책관은 "그간 섬 지역 시범사업을 통해 지하수저류댐의 물 공급 효과를 확인한 만큼, 지하수저류댐을 전국으로 확대해 극심한 가뭄 시에도 물 부족 지역의 주민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