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CES서 역대 최대 규모 '서울통합관' 운영…스타트업 지원
전년 대비 1.5배 확대된 규모 전시관
16개 협력기관 104개 스타트업 전시
[서울=뉴시스]
시는 내년 1월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의 스타트업 전문 전시관 유레카에서 전년 대비 50% 이상 확대된 1040㎡(약 315평) 규모의 서울통합관을 조성한다.
CES 2025는 지난 2020년부터 서울시가 CES에 참가한 이후 운영한 서울통합관의 규모 뿐만 아니라 전시에 참여하는 서울 소재 혁신기업, 혁신상 수상 기업의 수까지 역대 최대다.
시는 CES 2025를 통해 창업 생태계의 결집된 역량을 바탕으로 첨단 기술 도시인 서울의 AI, 라이프스타일, 헬스케어 등의 기술을 선보이고, 투자자 매칭·글로벌 경연 등 현장 프로그램을 통해 스타트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번 CES 서울통합관 전시에는 서울 3개 자치구(강남·금천·관악구), 5개 창업지원기관(SBA·서울관광재단·서울바이오허브·서울AI허브·캠퍼스타운성장센터), 8개 대학(건국대·경희대·국민대·동국대·서강대·서울시립대·연세대·중앙대) 등 총 16개 협력 기관의 스타트업 104개사가 참여한다.
시는 전시기업의 비즈니스 상담 및 현장운영 지원하기 위해, 기업별 대학생 서포터즈 인력을 1대1로 매칭해주는 서포터즈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혁신상 수상도 역대 최다다. 서울통합관 전시에 참여하는 기업 중 혁신상 컨설팅을 지원받은 스타트업 21개사가 CES 2025에서 혁신상을 받는다.
서울경제진흥원은 CES 2025 서울통합관 운영계획 발표와 참여기관 및 기업 간 사전 네트워킹을 위해 지난 달 29일 서강대학교 정상하관에서 'CES 2025 서울통합관 발대식'을 개최했다.
김현우 서울경제진흥원 대표는 "CES 2025는 서울, 더 나아가 대한민국의 혁신기술과 창업 생태계를 글로벌 시장에 알리는 중요한 무대가 될 것"이라며 "첨단 혁신기술을 보유한 서울의 스타트업들이 글로벌 성공 사례를 계속해서 써나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