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보이스·히식스 김홍탁 별세…그룹사운드 전성시대 이끈 기타리스트(종합)
폐암 투병 끝 눈 감아…'당신은 몰라' 작곡 주인공
서울재즈아카데미 설립…'그룹사운드 명예의 전당' 창립 추진도
[서울=뉴시스] 김홍탁. (사진 = 박성서 대중음악 평론가 제공) 2024.12.07.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7일 박성서 대중음악 평론가와 업계에 따르면, 김홍탁은 폐암으로 투병하다 이날 오후 1시3분께 눈을 감았다.
고등학생 당시 인천 주변의 미군클럽에서 기타를 연주한 고인은 윤항기, 차중락, 차도균, 옥성빈과 함께 그룹 사운드 '키보이스' 일원이 되면서 음악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키보이스는 미8군 무대를 중심으로 주로 커버 무대를 선보이며 1960년대 초·중반을 풍미했다. 이 팀은 국내 최초의 그룹사운드 음반으로 평가 받는 '키보이스-그녀 입술은 달콤해'(1964)’로 호평 받았다.
[서울=뉴시스] 키보이스. (사진 = 박성서 대중음악 평론가 제공) 2024.12.07.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히파이브는 1970년 서울시민회관(현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보컬그룹 경연대회'에서 그랑프리를 차지하면서 당대 최고의 그룹 반열에 올랐다. 멤버 변동 끝에 '히식스(He 6)'로 이름을 바꾼 이후에도 큰 인기를 누렸다. 특히 히식스는 '초원' '초원의 사랑' '초원의 빛' 등 '초원 시리즈' 히트곡을 남겼다.
김홍탁은 히식스에서 '말하라 사랑이 어떻게 왔는가를', '당신은 몰라' 등을 작곡하기도 했다. '당신은 몰라'는 히식스 멤버였던 최헌이 그룹 사운드 '검은나비'에서 히트시킨 곡이기도 하다.
[서울=뉴시스] 히파이브. (사진 = 박성서 대중음악 평론가 제공) 2024.12.07.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국내 그룹사운드 명예의 전당'을 만드는 게 꿈이었던 고인은 이를 위해 '김홍탁 유튜브'를 개설, 수많은 그룹사운드의 선후배 뮤지션들을 인터뷰하고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헌신했다. 이 작업을 별세 직전까지 진행해 왔다.
박성서 평론가는 "최근엔 건강이 악화돼 스튜디오가 아닌 집에서 인터뷰를 진행하는 투혼을 발휘했다. 늘 산소호흡기를 달고 있어야 하기에, 그 무거운 걸 들고 다닐 수 없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김홍탁. (사진 = 박성서 대중음악 평론가 제공) 2024.12.07.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김홍탁 트리오는 작년년 김홍탁을 중심으로 김선, 그리고 쥰시스터즈의 오영숙이 함께 결성했다. 김선은 1959년 미8군쇼 드러머로 활동을 시작했다. 기타리스트 이진을 만나 '써니앤지니'로 활동한 이후 그룹 '바보스', '샤우터스' 등을 거쳐 1966년 '눈물 맺힌 나의 기도'를 발표하며 솔로로 데뷔했다.
박성서 평론가는 "늘 고인 이름 앞에 붙는 '기타의 파이오니어'라는 별칭이 증명하듯, 김홍탁은 우리나라 그룹사운드 1세대로서 그 흐름을 이어오고 한 번도 그룹 음악을 떠난 적 없이 별세 전까지 무대에 섰다"면서 "우리나라 그룹의 역사를 제대로 기록하고 또 후배들에게 이어지기를 바라며 열정적이면서도 헌신적으로 노력했던 인물"이라고 기억했다
[서울=뉴시스] 김홍탁. (사진 = 박성서 대중음악 평론가 제공) 2024.12.07.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