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러시아 군용기 수대 방공식별구역 무단 진입 후 이탈"
군 "영공 침범은 없어…공군 전투기 투입"
![[서울=뉴시스]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가 6일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에 진입해 우리 군이 전투기를 긴급 출격시켜 대응에 나섰다. 사진은 지난해 5월24일 중러 양국이 합동 비행훈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중국 훙(H)-6K 폭격기, 러시아 Tu-95MS 전략폭격기, 중국 젠(J)-16 전투기 등이 나란히 비행하는 모습. 2023.06.07](https://img1.newsis.com/2023/06/07/NISI20230607_0001283501_web.jpg?rnd=20230607093959)
[서울=뉴시스]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가 6일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에 진입해 우리 군이 전투기를 긴급 출격시켜 대응에 나섰다. 사진은 지난해 5월24일 중러 양국이 합동 비행훈련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중국 훙(H)-6K 폭격기, 러시아 Tu-95MS 전략폭격기, 중국 젠(J)-16 전투기 등이 나란히 비행하는 모습. 2023.06.07
[서울=뉴시스] 남정현 기자 = 합동참모본부는 15일 러시아 군용기 수대가 동해 한국 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에 진입했으며, 영공침범은 없었다고 밝혔다. 우리 군은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전투기를 띄웠다.
합참은 이날 공식입장을 내고 "오늘 9시20분께 러시아 군용기 수대가 동해 KADIZ에 순차적으로 진입했고 곧 KADIZ 동쪽 및 북쪽으로 이탈했으며 영공침범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군은 러시아 군용기가 KADIZ에 진입하기 이전부터 식별했고, 공군 전투기를 투입해 우발상황에 대비한 전술조치를 실시했으며, 교신한 결과 훈련 목적이며 영공침범 의사가 없음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러시아 군용기가 KADIZ에 진입한 것은 지난해 11월29일 이후 약 4개월 만이다.
당시 중국과 러시아의 군용기가 한국 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에 무단 진입했고 국방부는 양국 국방무관에게 엄중하게 항의했다.
통상적으로 군용 항공기가 다른 나라 방공식별구역에 진입할 경우 해당 국가에 미리 비행계획을 제출하고, 진입 위치 등을 알려주는 게 국제 관행이다.
하지만 당시 중국과 러시아는 KADIZ 진입에 앞서 우리나라에 통보하지 않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