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TF 개최…의약품·농식품·ICT 대책 논의

등록 2025.05.22 17:00:00수정 2025.05.22 18:00: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美 의약품 관세 부과 구체화시 지원 방안 신속 마련

금융·바우처·마케팅 등 농식품 수출 기업 지원 추진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2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 : 기재부 제공) 2025.5.22. *재판매 및 DB 금지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2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 : 기재부 제공) 2025.5.22.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 안호균 기자 =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를 열고 의약품·농식품·ICT 등 주요 분야별 수출 영향과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 주재로 열린 이날 회의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농림축산식품부·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해양수산부·중소벤처기업부·고용부·금융위원회 등 관계 부처가 참석했다.

정부는 의약품의 경우 제약·바이오 기업의 의견을 수렴해 관세부과 구체화 시 지원 방안을 신속히 마련할 예정이다.

농식품은 미국이 최대 수출 시장인 동시에 K-푸드 열풍으로 성장 잠재력을 지닌 시장임을 고려해 관세 영향을 밀착 모니터링하는 한편, 금융·바우처·마케팅·보험·물류인프라 등 수출 기업 부담 완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참석자들은 미국 관세 관련 주요 수출 기업의 현장 애로사항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정부는 '원스톱 관세대응 지원본부'를 중심으로 현장을 방문해 철강·기계·화장품 등 다양한 업종 기업의 의견을 청취하며 통상 정보 부족, 계약 지연·보류·취소, 원자재 등 비용 부담, 신규 시장 발굴 어려움 등 고충을 파악했다.

향후에도 기업의 불안감 해소 및 애로 해결을 위해 수출지원제도를 적극 안내하는 등 소통을 강화하는 한편, 기업 애로 발굴 및 신속한 해결을 위한 릴레이 현장 방문을 지속하기로 했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2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 : 기재부 제공) 2025.5.22. *재판매 및 DB 금지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이 2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사진 : 기재부 제공) 2025.5.22.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