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제주도의회, 체육회 수천만원 횡령에 "제주도 뭐했나" 지적

등록 2025.06.11 15:06:3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회계 담당 직원이 보조금 가족 계좌로 이체

도의회 문광위서 제주도 관리·감독 부실 비판

[제주=뉴시스] 강철남 제주도의원은 11일 오전 열린 제439회 제주도의회 제1차 정례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회의에서 질의하고 있다. (사진=제주도의회 제공) 2025.06.11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강철남 제주도의원은 11일 오전 열린 제439회 제주도의회 제1차 정례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회의에서 질의하고 있다. (사진=제주도의회 제공) 2025.06.11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양영전 기자 = 제주도체육회 직원이 수천만원의 보조금을 횡령한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제주도의회에서 제주도의 관리 부실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11일 열린 제주도의회 제439회 제1차 정례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회의에선 이 문제가 도마 에 올랐다.

강철남 의원은 "그동안 체육회 내부 갑질·성희롱 사건의 충격이 가시지도 않은 상황에서 이번 보조금 횡령 사건은 단순한 일탈이 아니라 제도의 허점을 드러낸 사례"라며 "체육단체의 책임성과 자율성을 제고한다는 명분 아래 추진된 포괄보조금 제도가 사실상 방만경영의 근거로 악용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보조금 횡령은 단순히 개인의 일탈로 끝날 수 없는 구조적 문제"라며 "도정은 사전·사후 관림감독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꼬집었다.

강 의원에 따르면 최근 도체육회 회계담당 직원이 보조금 4600만원을 가족 계좌 등으로 이체한 사실이 드러났다. 해당 직원은 현재 경찰 수사를 받고 있으며 추가 횡령 여부에 대한 조사도 이뤄지고 있다.

강 의원은 포괄보조금 제도는 자기책임성 강화, 종목단체 지원 창구 단일화, 형평성 제고를 위해 체육회에 예산 권한을 이양하며 도입됐는데 이번 사건으로 자율 운영이 오히려 감시의 사각지대를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도체육회를 포함한 각 체육회의 예산과 권한이 나날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상응하는 관리감독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며 "포괄보조금 제도의 전면 재검토와 함께 상위법에 의거한 관련 조례 개정을 통해 도정의 실질적인 관리감독 권한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두화 의원도 "포괄보조금에 부기명을 부여해 예산 사용의 투명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했고, 고태민 문화관광체육위원장도 "체육회 내부 판단에 따라 행정이 운영되는 현재의 구조에는 한계가 있다"고 거들었다.

이에 김양보 도 문화체육교육국장은 "체육회뿐만 아니라 종목단체에 이르기까지 보조금 관리 전반을 재점검하겠다"고 답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