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이란 휴전에 일상으로 돌아온 이스라엘인들 [뉴시스Pic]
![[텔아비브=AP/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휴전이 발표된 후 텔아비브 지하 대피소에 대피했던 주민들이 텐트를 철수하고 있다. 2025.06.25.](https://img1.newsis.com/2025/06/25/NISI20250625_0000443625_web.jpg?rnd=20250625074108)
[텔아비브=AP/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휴전이 발표된 후 텔아비브 지하 대피소에 대피했던 주민들이 텐트를 철수하고 있다. 2025.06.25.
[서울=뉴시스] 류현주 기자 = 이스라엘과 이란이 휴전하기로 하면서 중동 지역 긴장이 완화됐다.
앞서 이스라엘은 지난 13일(현지 시간) 이란의 핵 시설을 겨냥해 선제 공습을 했다. 당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스라엘의 생존 자체에 대한 이란의 위협을 격퇴하기 위해 특정 목표를 겨냥한 군사작전"이라며 "이란 나탄즈에 있는 핵 시설, 핵 과학자 등 고위 관리들을 표적으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이에 이란 최고지도자인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는 이번 공격에 대해 엄중한 처벌을 받게 될 것이라며 반격에 나섰고 양측의 교전은 이어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1일 자국 초대형 벙커버스터 폭탄 GBU-57을 동원해 '난공불락의 요새' 포르도를 포함한 이란 주요 핵시설을 직접 타격했다.
이란은 미국의 공습 이틀 뒤인 23일 카타르와 이라크 소재 미군 기지에 미사일을 발사하며 보복에 나섰다. 다만 공격을 사전 통보함으로써 큰 피해는 없었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를 통해 "이스라엘과 이란이 완전하고 전면적인 휴전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설명에 따르면 이란이 미 동부시간 기준으로 24일 0시부터 먼저 군사행위를 12시간 동안 중단하고 이스라엘이 12시간 휴전을 이어가는 방식으로 휴전 절차가 진행돼 총 24시간 후에 전쟁이 공식적으로 끝난다.
워싱턴포스트,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이란 대통령 마수드 페제시키안은 이날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이 휴전 조건을 준수하는 한, 이란도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휴전 합의를 위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이스라엘 국방장관 이스라엘 카츠는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를 통해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과의 통화에서 "상대방이 휴전 협정을 지키는 한, 이스라엘도 휴전을 존중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결정에 이란의 공습을 피해 대피했던 이스라엘인은 다시 일상을 찾게 됐다.
![[텔아비브=AP/뉴시스] 13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미사일 공격으로 폭발이 일어나고 있다. 이란은 13일 밤과 14일 새벽 탄도미사일 등을 동원해 이스라엘 예루살렘과 텔아비브를 공격했다. 2025.06.14.](https://img1.newsis.com/2025/06/14/NISI20250614_0000416752_web.jpg?rnd=20250614100004)
[텔아비브=AP/뉴시스] 13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미사일 공격으로 폭발이 일어나고 있다. 이란은 13일 밤과 14일 새벽 탄도미사일 등을 동원해 이스라엘 예루살렘과 텔아비브를 공격했다. 2025.06.14.
![[텔아비브=AP/뉴시스] 1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 상공에 발사체가 궤적을 그리며 떨어지고 있다. 이란은 13일 밤과 14일 새벽 탄도미사일 등을 동원해 이스라엘 예루살렘과 텔아비브를 공격했다. 2025.06.14.](https://img1.newsis.com/2025/06/14/NISI20250614_0000417164_web.jpg?rnd=20250614100004)
[텔아비브=AP/뉴시스] 1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 상공에 발사체가 궤적을 그리며 떨어지고 있다. 이란은 13일 밤과 14일 새벽 탄도미사일 등을 동원해 이스라엘 예루살렘과 텔아비브를 공격했다. 2025.06.14.
![[테헤란=신화/뉴시스]13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공습으로 파괴된 이란 테헤란의 한 건물에서 구조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2025.06.14.](https://img1.newsis.com/2025/06/13/NISI20250613_0020850617_web.jpg?rnd=20250614064531)
[테헤란=신화/뉴시스]13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공습으로 파괴된 이란 테헤란의 한 건물에서 구조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2025.06.14.
![[텔아비브=AP/뉴시스] 13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이란의 미사일 발사로 공습 경보가 울리자 시민들이 방공호에 대피해 있다. 2025.06.14.](https://img1.newsis.com/2025/06/14/NISI20250614_0000416967_web.jpg?rnd=20250614100004)
[텔아비브=AP/뉴시스] 13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이란의 미사일 발사로 공습 경보가 울리자 시민들이 방공호에 대피해 있다. 2025.06.14.
![[텔아비브=AP/뉴시스] 13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한 건물이 이란이 발사한 미사일에 맞아 화염과 연기가 치솟고 있다. 2025.06.14.](https://img1.newsis.com/2025/06/14/NISI20250614_0000416947_web.jpg?rnd=20250614100004)
[텔아비브=AP/뉴시스] 13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한 건물이 이란이 발사한 미사일에 맞아 화염과 연기가 치솟고 있다. 2025.06.14.
![[바트얌=신화/뉴시스] 15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중부 바트얌의 한 건물이 이란이 발사한 미사일 공격으로 파괴돼 있다. 이스라엘 국영 칸TV에 따르면 지난 13일부터 이어진 이란의 보복 공격으로 인한 사망자는 14명에 달한다. 2025.06.16.](https://img1.newsis.com/2025/06/16/NISI20250616_0020852782_web.jpg?rnd=20250616154210)
[바트얌=신화/뉴시스] 15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중부 바트얌의 한 건물이 이란이 발사한 미사일 공격으로 파괴돼 있다. 이스라엘 국영 칸TV에 따르면 지난 13일부터 이어진 이란의 보복 공격으로 인한 사망자는 14명에 달한다. 2025.06.16.
![[라마트간=AP/뉴시스] 이란의 미사일 공격을 받은 지 이틀이 지난 21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라마트간의 한 손상된 건물 창문에 이스라엘 국기가 비치고 있다. 2025.06.22.](https://img1.newsis.com/2025/06/22/NISI20250622_0000436649_web.jpg?rnd=20250622093433)
[라마트간=AP/뉴시스] 이란의 미사일 공격을 받은 지 이틀이 지난 21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라마트간의 한 손상된 건물 창문에 이스라엘 국기가 비치고 있다. 2025.06.22.
![[베르셰바=AP/뉴시스] 19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베르셰바에 있는 소로카 병원 단지 내 건물이 이란의 미사일 공격을 받아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병원 근처 이스라엘군 지휘·정보센터가 타격받았다”라고 주장했다. 2025.06.20.](https://img1.newsis.com/2025/06/20/NISI20250620_0000432059_web.jpg?rnd=20250620081447)
[베르셰바=AP/뉴시스] 19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베르셰바에 있는 소로카 병원 단지 내 건물이 이란의 미사일 공격을 받아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이란 혁명수비대는 “병원 근처 이스라엘군 지휘·정보센터가 타격받았다”라고 주장했다. 2025.06.20.
![[테헤란=AP/뉴시스] 19일(현지 시간) 이란 테헤란에 위치한 국영방송 IRIB이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건물 뼈대만 남은 채 파손돼 있다. 2025.06.20.](https://img1.newsis.com/2025/06/19/NISI20250619_0000430872_web.jpg?rnd=20250620084114)
[테헤란=AP/뉴시스] 19일(현지 시간) 이란 테헤란에 위치한 국영방송 IRIB이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건물 뼈대만 남은 채 파손돼 있다. 2025.06.20.
![[테헤란=AP/뉴시스] 19일(현지 시간) 이란 테헤란에 위치한 국영방송 IRIB이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건물 뼈대만 남은 채 파손돼 있다. 2025.06.20.](https://img1.newsis.com/2025/06/19/NISI20250619_0000430906_web.jpg?rnd=20250620084114)
[테헤란=AP/뉴시스] 19일(현지 시간) 이란 테헤란에 위치한 국영방송 IRIB이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건물 뼈대만 남은 채 파손돼 있다. 2025.06.20.
![[포르도=AP/뉴시스] 맥사 테크놀로지스가 제공한 위성사진에 24일(현지 시간) 이란 포르도 농축 시설이 미군의 지난 23일 공습으로 파괴돼 있다. 2025.06.25.](https://img1.newsis.com/2025/06/25/NISI20250625_0000443707_web.jpg?rnd=20250625075321)
[포르도=AP/뉴시스] 맥사 테크놀로지스가 제공한 위성사진에 24일(현지 시간) 이란 포르도 농축 시설이 미군의 지난 23일 공습으로 파괴돼 있다. 2025.06.25.
![[휘트먼기지=AP/뉴시스] 미군의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가 22일(현지 시간) 이란 핵 시설에 대한 대규모 공습을 마치고 미주리주 휘트먼 기지로 복귀하고 있다. 2025.06.23.](https://img1.newsis.com/2025/06/23/NISI20250623_0000438588_web.jpg?rnd=20250623092414)
[휘트먼기지=AP/뉴시스] 미군의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가 22일(현지 시간) 이란 핵 시설에 대한 대규모 공습을 마치고 미주리주 휘트먼 기지로 복귀하고 있다. 2025.06.23.
![[텔아비브=AP/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이란의 미사일 공습경보에 지하 주차장으로 대피했던 주민들이 경보가 해제되자 밖으로 나오고 있다. 2025.06.24.](https://img1.newsis.com/2025/06/24/NISI20250624_0000441969_web.jpg?rnd=20250624142142)
[텔아비브=AP/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이란의 미사일 공습경보에 지하 주차장으로 대피했던 주민들이 경보가 해제되자 밖으로 나오고 있다. 2025.06.24.
![[텔아비브=AP/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이란의 미사일 공습경보에 지하 주차장으로 대피했던 주민들이 경보가 해제되자 밖으로 나오고 있다. 2025.06.24.](https://img1.newsis.com/2025/06/24/NISI20250624_0000441967_web.jpg?rnd=20250624142142)
[텔아비브=AP/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이란의 미사일 공습경보에 지하 주차장으로 대피했던 주민들이 경보가 해제되자 밖으로 나오고 있다. 2025.06.24.
![[텔아비브=AP/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휴전이 발표된 후 텔아비브 지하 대피소에 대피했던 주민들이 매트리스를 걷어내고 있다. 2025.06.25.](https://img1.newsis.com/2025/06/25/NISI20250625_0000443624_web.jpg?rnd=20250625074108)
[텔아비브=AP/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휴전이 발표된 후 텔아비브 지하 대피소에 대피했던 주민들이 매트리스를 걷어내고 있다. 2025.06.25.
![[텔아비브=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과 이스라엘의 휴전을 발표한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한 카페에서 시민들이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모처럼의 평온한 시간을 즐기고 있다. 2025.06.25.](https://img1.newsis.com/2025/06/25/NISI20250625_0000442896_web.jpg?rnd=20250625081627)
[텔아비브=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과 이스라엘의 휴전을 발표한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한 카페에서 시민들이 아이스크림을 먹으며 모처럼의 평온한 시간을 즐기고 있다. 2025.06.25.
![[텔아비브=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과 이스라엘의 휴전을 발표한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한 카페에 시민들이 모여 평온한 시간을 즐기고 있다. 2025.06.25.](https://img1.newsis.com/2025/06/25/NISI20250625_0000442886_web.jpg?rnd=20250625081627)
[텔아비브=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과 이스라엘의 휴전을 발표한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의 한 카페에 시민들이 모여 평온한 시간을 즐기고 있다. 2025.06.25.
![<font style="vertical-align: inherit;"><font style="vertical-align: inherit;">[텔아비브=AP/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 해변에서 시민들이 운동을 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이란은 이날 휴전하기로 발표했다. 2025.06.25.</font></font>](https://img1.newsis.com/2025/06/25/NISI20250625_0000442912_web.jpg?rnd=20250625082258)
[텔아비브=AP/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 텔아비브 해변에서 시민들이 운동을 하고 있다. 이스라엘과 이란은 이날 휴전하기로 발표했다. 2025.06.25.
![[텔아비브=AP/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휴전이 발표된 후 텔아비브 해변을 찾은 시민들이 휴식하고 있다. 2025.06.25.](https://img1.newsis.com/2025/06/25/NISI20250625_0000442969_web.jpg?rnd=20250625082258)
[텔아비브=AP/뉴시스] 24일(현지 시간)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휴전이 발표된 후 텔아비브 해변을 찾은 시민들이 휴식하고 있다. 2025.06.25.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