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조선, 9월 중국에 수주 1위 내줬지만 '여유만만'…이유는?

[서울=뉴시스]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9월 선박 발주는 328만CGT(116척)로 중국 195만CGT(75척, 60%), 한국 91만CGT(14척, 28%), 일본 26만CGT(15척, 8%) 순이다.
국내 조선사들은 ▲2024년까지 안정적 건조 물량 확보 ▲신조선가 상승 추세 등을 감안해 고부가 선박 중심의 선별 수주에 나선 영향으로 보인다. 실제로 9월 수주한 선박의 척당 단가는 중국이 6000만달러인 것에 비해 한국은 1억7000만달러로 약 3배 가량 비쌌다.
올해 조선 빅3는 일찍이 수주 목표를 채우는 등 순항 가도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 최대 조선사인 한국조선해양은 조선 빅3 가운데 제일 먼저 올해 수주목표를 달성했다. 한국조선해양은 지난 7월15일 아시아 소재 선사와 총 4571억원 규모의 초대형 LNG운반선 2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하며 올해 목표를 넘겼다. 현재까지 201척 194억달러(해양 3기 포함)를 수주하며 연간 목표 149억달러의 약 130% 달성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달 14일 LNG운반선 4척을 수주하며, 수주목표를 7년 만에 초과 달성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컨테이너선 20척, 초대형원유운반선 11척, 초대형LPG운반선 9척, LNG운반선 6척, WTIV 1척, 잠수함 1척, 해양플랜트 2기 등 총 50척/기 약 85.8억달러 상당의 선박, 해양플랜트 및 잠수함을 수주해 올해 목표 77억달러 대비 약 111%를 달성했다.
대우조선해양이 수주목표를 달성한 것은 조선시황의 급격한 악화로 수주가 급감한 2014년 이후 처음이다. 특히 2014년 149억달러 수주 이후 처음으로 80억달러 이상을 수주해 일감 확보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현재 수주잔량도 약 222억달러로 2년치 이상 일감을 확보한 상태다.
삼성중공업은 올해 총 64척, 86억달러를 수주하며 연간 목표 91억달러의 95%를 달성했다. 단독 협상중인 쇄빙 셔틀탱커 규모를 감안하면, 올해 한 차례 높인 수주목표(78억달러 → 91)의 초과 달성이 기정 사실화 되고 있다.
조선 빅3는 안정적인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수익성 위주의 선별 수주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한국조선해양은 지난 7월21일 열린 2분기(4~6월)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을 통해 이 같은 방침을 거듭 강조했다. 당시 한국조선해양은 "현재 2년 반 가량의 수주 잔고를 확보했다. 일반 상선 기준으로 수주하면 당초 계획 대비 약 130%까지 수주가 가능하다"며 "신규 수주는 마진이나 수익성 확보 여부를 분석해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okdol99@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