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中리창 "한반도 문제, 각 당사국이 긴장 완화 힘써야"

등록 2024.05.27 17:07:15수정 2024.05.27 18:12: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당사국들, 조속히 대화 재개해야"

"무역 보호주의와 디커플링 반대해야" 강조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4.05.27. chocrystal@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 공동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4.05.27. [email protected]

[베이징·서울=뉴시스]박정규 특파원,  양소리 기자 =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27일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각 당사국들이 함께 정세 완화를 위한 노력에 나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밝혔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리 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에서 윤석열 대통령·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가진 3자 회담에서 "현재 한반도 정세는 긴장 국면이 지속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와 관련해 리 총리는 “각 당사국들이 건설적인 역할을 발휘해 정세를 완화시키고 조속한 시기에 대화를 재개하는 한편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진전시키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중·일·한은 각자의 발전 이점을 살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등 지역 국가들의 요구에 적극 대응해 지역 협력의 새로운 엔진을 만들어야 한다"며 "아세안과 중·일·한(10+3) 협력의 모멘텀을 살려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중국은 한국·일본과 함께 인류 운명공동체 구축을 적극 추진하고 지역과 세계의 항구적 안정을 위해 협력하길 원한다"고 덧붙였다.

리 총리는 회담에서 한·중·일 3국 협력 심화를 위한 5가지 건의사항을 제시했다고 중국 외교부는 전했다.

리 총리는 "첫째는 협력 전면 재개를 추진하고 서로의 핵심 이익과 중대한 관심사안을 존중하면서 협력 역량을 충분히 활성화하고 양자 관계와 삼국 협력 상호 촉진을 형성하는 것"이라며 "두 번째는 경제·무역 상호 연결을 심화하고 산업망·공급망의 안정성과 소통성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빨리 중·일·한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재개·완료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중국에 '한·중·일 혁신협력센터'를 설립해 3국의 신(新)에너지 육성에 나설 것이라는 계획을 들면서 과학기술 및 첨단 분야 협력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 밖에도 '한·중·일 문화교류의 해'를 계기로 한 인문 교류와 저탄소·기후변화·고령화·전염병 등에 대한 교류·협력 강화도 각각 당부했다.

[서울=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의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5.27.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와의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대통령실 제공) 2024.05.27. [email protected]

회담 이후 청와대 영빈관에서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도 리 총리는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비슷한 언급을 내놨다.

리 총리는 "중국은 시종일관 한반도 평화 안정을 추진하고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인 해결을 추진하고 있다"며 "관련 측은 자제를 유지하고 사태를 더 악화하고 복잡해지는 것을 예방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중·한·일 3국은 예민한 문제와 갈등, 이견을 선처하고 서로의 핵심 이익과 중대 관심사를 배려해주며 진정한 다자주의를 실천하자"고 말했다.

이날 회담에서 리 총리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제·안보 질서 재편에 대해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회담 모두발언에서 리 총리는 3국의 지속적인 협력을 당부하면서 "서로를 발전의 동반자와 발전 기회로 간주하고 경제 글로벌화와 자유무역을 수호해 경제·무역 문제의 범정치화·범안보화를 반대해서 무역 보호주의와 디커플링을 반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개방 포용의 정신을 견지해 협력의 원동력을 모아야 한다"며 "비배타적·비차별적인 원칙으로 개방적인 태도와 투명한 조치로 3국 협력의 전면적인 재개를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상호 존중과 신뢰를 견지해 협력 정책의 안정성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우리는 솔직한 대화로 의심과 오해를 풀고 전략적인 자주의 정신으로 양자 관계를 수호하며 세계 다극화를 추진하고 집단화와 진영화를 반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