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안되는 서비스 확 줄이겠다"…'수익 비상' LGU+, 사업 재편 속도
작년 영업익 13.5% 줄어든 8631억 그쳐…매출은 1.8% 늘어난 14.6조
일부 플랫폼 서비스 등 저수익 사업 정리
"올해 서비스 매출 2% 이상 성장 목표"

[서울=뉴시스] 박은비 기자 = LG유플러스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13.5% 줄어든 8631억원에 그쳤다. 신규 통합 전산 시스템 투자 비용을 비롯해 통상임금 범위를 확대한 판결로 인건비가 늘어난 여파다. 이에 따라 저수익성 사업 정리에 속도를 내는 등 허리띠 졸라매기에 들어갔다.
LG유플러스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지난해 영업이익 863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3.5% 감소했다고 6일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1.8% 증가한 14조6252억원, 당기순이익은 44.0% 줄어든 3529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이 증가한 건 통화 에이전트 익시오(ixi-O)와 인터넷TV(IPTV) 인공지능(AI) 미디어 에이전트 등 유무선 서비스의 AI 전환(AX) 작업이 본격화한 덕분이다. 고가치 가입 회선이 늘어났다.
반면 신규 통합 전산 시스템 구축으로 인한 무형 자산 상각 비용이 발생했다. 또 통상임금 범위 확대 판결에 따른 지난해 4분기 일회성 인건비 등 반영으로 영업이익이 1년 전보다 13% 넘게 줄었다.
지난해 4분기만 놓고 봤을 때 영업이익은 1422억원으로 27.3% 감소했다. 매출액은 1.8% 줄어든 3조7532억원, 당기순손실은 적자 전환해 770억원 수준이다.
연간 기준 설비투자(CAPEX)는 20㎒ 추가 주파수 할당에 따른 기지국 구축이 마무리되면서 지난해와 비교해 23.6% 빠진 1조9208억원으로 집계됐다. 마케팅 비용은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한 2조2091억원이다.
연간 기준 모바일 매출의 경우 익시오와 AI 챗봇, AI 콜봇 등 AX 활동에 힘입어 전년 대비 1.8% 불어난 6조4275억원을 기록했다. 알뜰폰(MVNO) 가입 회선과 로밍 수익 증가도 매출 성장을 뒷받침했다. 접속 매출을 제외한 무선서비스 매출은 6조1172억원으로 전년 대비 2.2% 성장했다.
이동통신(MNO)과 MVNO를 합한 전체 무선 가입 회선수는 2851만5000개로 13.6% 늘어났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022년부터 3년 연속 두자릿수 무선 가입 회선 성장률을 나타냈다. 총 무선 가입 회선수는 3000만개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전체 순증 가입 회선은 341만8000개다.
IPTV와 초고속인터넷 사업으로 구성된 스마트홈 부문은 직전연도와 비교해 3.7% 불어난 2조506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AI 미디어 에이전트, 온디바이스 AI 셋톱박스 등 IPTV 서비스 내 초개인화 서비스를 적용해 고객 편의성을 높여서다. 초고속 인터넷 광가입자망(FTTH) 전환에 따른 네트워크 품질 향상 활동 영향도 있다.
기업 인프라 부문의 경우 매출이 전년 대비 1.3% 올라간 1조7055억원을 기록했다. 인터넷데이터센터(IDC) 가동률 확대, 전용 회선의 견조한 매출 증가 등에 기인한다.
AI 신사업 육성…고수익 사업 중심 재편 속도
LG유플러스의 주당 배당금은 지난해와 동일한 650원으로 책정됐다. 영업이익이 줄었지만 지난해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 일환으로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검토해 주주환원율을 순이익의 40~60% 수준으로 맞출 계획이다.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 비율을 의미하는 배당 성향은 54.7%로 전년 대비 11.5%포인트 올라갔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CFO)·최고리스크책임자(CRO)(전무)는 "올해 AX 사업의 실질적 성과 창출과 기존 사업의 선택·집중을 통한 사업 구조 개편에 집중해 나갈 것"이라며 "올해 경영 가이던스인 연결 기준 서비스 매출 2% 이상 성장을 달성하는 동시에 기업 가치와 주주 이익을 제고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일부 플랫폼 운영 중단…사업성 전면 검토할 것"
한편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가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이다. 강진욱 LG유플러스 모바일·디지털혁신그룹장(상무)은 "관련 시행령 고시 내용이 확정되지 않아 현재로서는 사업적, 재무적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다"면서도 "단통법 시행 전 대비 단말기 교체주기가 굉장히 길어졌고 결합 고객 비중이 굉장히 증가해 타사 가입자 확보에 필요한 비용이 굉장히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기본적으로 사업자간 소모 경쟁이 아니라 통신 서비스 본원적 가치를 제공하는 데 집중해 발전적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