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안정적 처리 위해서는 시멘트 산업 역할 필수"[3RINCs 2025]②
"가연성 폐기물 안정적 관리 위해 시멘트 업계 역할 중요"
"시멘트·소각로 업계 안정적인 시장 운영 방안 모색해야"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이 12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열린 '3RINCs 2025' 국제학술대회에 주요 프로그램으로 편성된 시멘트 특별세션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한국시멘트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시스] 홍세희 기자 = 가연성 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를 위해서는 시멘트 산업의 역할이 필수적이라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됐다.
폐기물은 느는데 매립 감축 정책으로 폐기물 처리가 전 사회적 이슈가 된 상황에서 시멘트 업계의 폐기물 처리량 확대가 새로운 대안이 됐다는 분석이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은 12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열린 '3RINCs 2025' 국제학술대회에 주요 프로그램으로 편성된 시멘트 특별세션에서 "가연성 폐기물 관리 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가연성 폐기물 처리 기업 간의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며 "관련 인프라의 안정적인 구축이 선행되지 않으면 쓰레기 대란이 발생할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시멘트 업계와 소각로 등의 폐기물 처리량을 분석해 안정적인 시장 운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정책에 따라 2026년부터 수도권에서 가연성 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되고, 2030년부터는 전국으로 확대 시행된다. 최근 수도권 직매립 금지 유예가 논의되고 있지만, 폐기물의 직매립 금지는 시간문제인 만큼 이에 따른 대안을 찾아야 한다.
홍 소장은 2026년부터 수도권 가연성 폐기물 직매립이 금지될 경우, 320만톤(t)의 폐기물이 처리 시장에 추가로 공급(불연성 폐기물 종량제 봉투 포함시 최대 380만t)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당장 폐기물 처리량을 급격하게 늘리는 것은 한계가 있다.
홍 소장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가연성 폐기물은 지방 소각장에서 500만t, 시멘트 시설에서 252만t, 민간 소각장에서 248만t이 처리됐다. 2020년 대비 시멘트 생산시설의 폐기물 처리량은 약 90만t 증가했지만, 다른 시설의 처리량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홍 소장은 "가연성 폐기물의 직접 매립 및 소각은 금지돼야 하고, 혼합 폐기물 선별을 통해 재료 재활용, 열분해 및 에너지 회수를 확대해야 한다"며 "시멘트 시설의 역할은 가연성 폐기물의 안정적 관리 및 에너지 회수를 위해 앞으로도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멘트 업계의 가연성 폐기물 재활용은 경제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왔다.
배재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5~6년 전 분석시 시멘트 업계의 가연성 폐기물 이용량이 연간 200만t 전후였다. 단순 계산하면 연간 5000억원의 경제적 효과가 있었다"며 "지금은 폐기물 사용량이 280~290만t으로 늘었다. 폐기물 사용량이 늘어난 만큼 더 많은 경제적 기여를 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같이 폐기물 재활용 분야에서 시멘트 산업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유해성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시멘트 제조업체들의 폐기물 사용 시멘트 정보 공개를 의무화하는 '폐기물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고, 최근에는 폐기물 사용 시멘트를 활용해 주택을 건설하는 경우 성분과 사용량 등을 공개하는 것을 골자로 한 주택법 개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 피터 호디노트 전 유럽시멘트협회장 겸 라파즈 그룹 부회장은 "한국 시멘트 산업은 이미 높은 기술 전문성과 품질 관리 역량을 갖추고 있어, 이러한 자원 재활용에 대한 우려는 과장된 면이 있다"며 "이는 한국 건설산업의 탄소 발자국을 줄이고 시멘트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놓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김진만 공주대 교수는 "가연성 폐기물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던 옷, 종이, 플라스틱 등이다. 그동안 사용하면서 전혀 위험하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던 물질"이라며 "이러한 것을 에너지원으로 썼을 때 위험도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생각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