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강제로 쿠팡 이동"…방통위, '납치광고' 사실조사 착수

등록 2025.06.20 08:19:20수정 2025.06.20 09:41:1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이용자 의사와 무관하게 쿠팡으로 강제 이동되는 불편광고 조사

통합계정 빌미, 쿠팡이츠 등 하위서비스 개별 탈퇴 미지원도 조사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인 3일 오후 서울 중구 한 쿠팡 차고지에 배달 차량이 주차돼 있다. 쿠팡은 대선 당일 배송기사의 투표권 보장을 위해 주간 로켓배송(오전 7시∼오후 8시)을 중단한다. 쿠팡의 로켓배송이 중단되는 것은 2014년 서비스 시행 이후 처음이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2025.06.03. kmn@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제21대 대통령 선거일인 3일 오후 서울 중구 한 쿠팡 차고지에 배달 차량이 주차돼 있다.
쿠팡은 대선 당일 배송기사의 투표권 보장을 위해 주간 로켓배송(오전 7시∼오후 8시)을 중단한다. 쿠팡의 로켓배송이 중단되는 것은 2014년 서비스 시행 이후 처음이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2025.06.0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방송통신위원회는 쿠팡으로 강제 이동되는 불편광고들에 대해 본격적인 사실 조사에 나선다.

방통위는 쿠팡의 전기통신사업법 금지 행위 위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실조사에 착수한다고 20일 밝혔다.

쿠팡이 각종 홈페이지나 온라인관계망(SNS) 등에서 강제로 자사 홈페이지 또는 앱으로 이동되는 '납치광고'로 이용자 불편을 유발했다고 판단했다.

방통위는 지난해 11월부터 쿠팡의 온라인 광고 현황, 집행방식, 사업 구조 등에 대해 실태 점검을 해왔다.

그 결과 쿠팡 광고가 각종 홈페이지와 SNS 등 다양한 인터넷 공간에 게시돼 이용자 의사와 무관하게 쿠팡으로 강제 전환되는 등 불편을 유발하고 이를 관리하는 쿠팡의 업무처리 절차에 미흡한 점을 확인했다. 또 쿠팡이 통합계정 제도를 빌미로 쿠팡 외에 쿠팡이츠·쿠팡플레이 등 하위 서비스의 개별 탈퇴를 지원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도 조사할 계획이다.

쿠팡의 이러한 행태가 전기통신사업법 상 금지 행위인 ‘이용자의 해지권 제한’에 해당하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방통위는 이번 조사를 통해 금지행위 위반 사항이 확인될 경우 과징금 부과, 시정명령 등 법령에 따라 엄정하게 조치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쿠팡 측은 "방통위 조사에 적극 협력하고 일부 악성 광고사업자의 부정광고 근절 방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