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중동발 리스크 총력 대응…오늘 당정 긴급회의
당정 오늘 오후 국회서 중동사태 긴급회의 개최
국제유가·물가 집중 점검…전 부처 비상 대응 주문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1차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6.23. bjk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6/23/NISI20250623_0020860882_web.jpg?rnd=20250623143851)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1차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6.2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중동발 정세 불안으로 국제 유가 등이 급등하자 대통령실과 전 부처에 비상 대응 체계를 주문했다. 국내 경제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며, 후속 장·차관 인선 작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24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전날 오후 취임 이후 첫 수석·보좌관회의를 열고 국내외 현안 전반을 점검했다. 특히 중동 정세가 우리 안보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관련 대책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중동의 상황이 매우 위급하다"며 "불확실성 확대 때문에 경제 상황, 특히 외환·금융·자본시장이 상당히 많이 불안정해지고 있다. 필요한 조치를 최대한 찾아내 신속하게 이행하고, 경제의 불확실성이 더 확장되지 않도록 잘 관리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안 그래도 물가 때문에 우리 서민들, 국민의 고통이 큰데 유가 인상과 연동돼서 물가 불안이 다시 시작되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합당한 대책들을 충분히 강구해달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아울러 필요하다면 국회와 협조해 2차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 중동 사태에 대비한 항목도 추가하라고 주문했다. 다만 대통령실 관계자는 "첫 회의다 보니 여러 가지 당부 말씀이 있었다"며 "중동 정세와 관련한 추경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지는 않았다"고 했다.
대통령실과 여당은 이와 관련 이날 오후 3시 국회에서 중동 사태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긴급회의를 개최한다. 회의에는 국가안보실 2차장과 민주당 최고위원, 정책위의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 대통령은 우선 중동발 리스크로 인한 국제 유가와 물가 흐름을 예의주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에 이란 정부가 전 세계 석유 해상 운송량의 약 4분의 1이 지나는 호르무즈 해협 봉쇄 카드를 꺼내 들면서, 국제 유가가 5% 안팎까지 치솟았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동 원유 의존도가 절대적으로 높아 실제 해협 봉쇄가 이뤄지면 타격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 원유 도입선 다변화 지원 정책 등으로 중동산 원유 의존도는 50%대까지 떨어졌지만 최근 수년 사이 다시 반등해 70% 수준까지 확대됐다.
여권 관계자는 "국제 유가의 상승은 물가와 수출 등 경제 전반에 타격을 입힌다"며 "기름값 안정 대책을 중점적으로 다루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정부도 국제 유가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밀착 대응하기로 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1차관은 전날 중동 사태와 관련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 회의를 열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향후 한반도 안보에 미칠 부정적 영향도 간과할 수 없다. 중국 당국은 미국의 이란 핵 시설 공습을 불법 군사 행동으로 규정하고 공식 규탄하는 등 미·중 갈등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북한이 미국발 안보 위협에 맞서 러시아와 밀착 행보를 강화하고 핵무기 고도화에 박차를 가할 가능성도 있다.
대통령실은 24일~25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의 공동성명과 메시지에도 촉각을 세우며 안보 대응책을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토는 북미·유럽의 군사 동맹 기구로 중동 사태가 주요 의제로 다뤄질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이 대통령은 국내외 상황이 엄중하다고 판단하고 내각 인선도 서두르는 분위기다. 전날 외교부 등 11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지명하는 대규모 내각 인선을 단행한 데 이어 조만간 나머지 부처 장관 인선도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국내외 변수에 대응하기 위한 조처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상황별 대응계획(컨틴전시 플랜)에 따라 긴밀한 공조 하에 신속히 대응할 계획"이라며 "내각 인선도 검증이 끝나면 그때그때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