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서울 학업중단 위험 학생 '799명→1601명' 2배 급증...왜?

등록 2023.03.19 09: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교육청 학업중단 숙려제 참여 학생 증가

"코로나로 안 가던 학교 가려니…부적응 늘어"

[서울=뉴시스]김병문 기자 = 고등학교 3학년을 예외로 약 3주간 서울·경기·인천지역 유치원과 학교가 등교를 중단, 원격수업으로 전환한 지난 2020년 8월26일 오후 서울 송파구 한 고등학교 빈 교실에서 교사가 원격수업하고 있다. 2023.03.12. dadazon@newsis.com

[서울=뉴시스]김병문 기자 = 고등학교 3학년을 예외로 약 3주간 서울·경기·인천지역 유치원과 학교가 등교를 중단, 원격수업으로 전환한 지난 2020년 8월26일 오후 서울 송파구 한 고등학교 빈 교실에서 교사가 원격수업하고 있다. 2023.03.1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경록 기자 = 스스로 자퇴 의사를 밝히거나 장기간 학교에 결석해 '학업중단 위기'에 놓인 서울 학생이 1년 새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그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19일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2021년 '학업중단 숙려제'에 참여한 관내 초중고 학생은 총 1601명으로 집계됐다. 2020년 799명에서 802명, 2배 넘게 늘어난 수치다.

학업중단 숙려제는 학생들의 충동적인 자퇴를 막고자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현 교육부)가 도입해 2013년부터 전면 시행된 제도다. 학교에 직접 자퇴 의사를 밝히거나, 미인정 결석이 연속 7일 혹은 연간 30일 이상 누적된 학생에게 최소 2주(14일)에서 최대 7주(49일) 동안 전문상담을 제공해 학업 복귀를 돕는 것이 목적이다. 2019~2021년 학업중단 숙려제에 참여한 서울 학생 5095명 중 3338명(65.5%)이 학업에 다시 복귀했다.

학업중단 위기학생이 2020년 799명에서 2021년 1601명으로 급증한 가장 큰 이유로는 '등교 확대'가 꼽힌다.

교육청 관계자는 "학교를 다닌다는 것은 굉장히 자기 관리가 잘 돼야 하는 일"이라며 "2020년에는 집에서 원격수업을 듣다 보니까 숙려제 신청을 많이 안했는데, 2021년부터 조금씩 등교가 많아지며 학업·관계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늘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한 "전면 등교가 시작된 지난해는 코로나19 이전 수준만큼 학업중단 숙려제 신청이 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2019년에는 총 2690명이 학업중단 숙려제에 참여했다. 2021년 1606명보다 1084명(67.5%)이나 많은 숫자다.

코로나19 발생으로 2020년에는 5월까지 중지된 등교수업은 이후 이른바 '퐁당퐁당 등교'로 불린 격일·격주제 등교가 시행된 뒤 점차 확대되면서 2021년 3월 수도권은 63.4%까지 등교수업 비율이 올라갔다. 전면 등교는 2021년 2학기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인 비수도권 학교부터 재개됐다.

최근 원격수업, 대안교육 등이 활성화되면서 '등교가 꼭 필요한가'라는 인식이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이재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정책본부장은 "학업중단 학생이라고 해서 무조건 학교 적응에 문제가 있는 학생이 아니다. 가정에서 꼭 공교육이 아니어도 학력을 인정받고 학업을 보충할 수 있는 기회가 얼마든지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며 "공교육에 대한 의존도, 신뢰도까지 복합적인 변수가 함께 발현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한 가지 특이한 점은 그 해 학업중단 숙려제에 참여한 뒤 실제 학업을 중단한 비율이 코로나19 이후 급격히 감소했다는 점이다. 2019년에는 학업을 중단한 1만1886명 중 2690명(22.6%)이 학업중단 숙려제에 참여했으나, 2020년은 12.4%, 2021년 17.5% 등으로 코로나19 전후 참여율이 5% 포인트 이상 급감했다.

초·중등교육법에 따라 학교는 학업중단 위기 학생에게 학업중단 숙려제 참여를 안내하도록 돼 있는데, 숙려기간도 거치지 않고 학교를 그만두는 학생이 늘었다는 의미다.

정제영 이화여대 교수는 "학교를 다니면 담임 선생님이 대화도 하고 설득도 할 수 있는데,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교사와 학생 간 교감 없이 갑자기 그만두겠다고 하는 학생이 늘어났을 수 있다"며 "개학 초인 4월과 10월에 이런 학생들을 잡아주려는 노력이 필요해보인다"고 밝혔다.

서울의 경우 2019~2021년 학업중단 위기학생 중 76.4%가 고등학생에 해당한다. 이들이 학교를 그만두는 이유를 분석해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수는 "검정고시를 보거나, 학교밖 기관을 통해 성장을 하겠다며 '자의'로 학교를 그만두는 경우와 학교폭력, 가정환경 등으로 부득이하게 '타의'로 학교를 떠날 수밖에 없는 경우를 분리해 후자에 숙려제를 집중 지원해야 한다"며 "숙려제 예산도 포괄성이 아닌 목적성 예산으로 배정해 전문 기관 상담을 강화하는 등 정책 실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