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입구 '금연'…흡연자들 "차별 정책" 반발

【서울=뉴시스】김선웅 기자 = 29일 오전 서울 마포구 홍대입구역에 금연 안내 문구가 붙어있다. 서울시는 다음달 1일부터 서울시내 모든 지하철역 출입구로부터 10m 이내 전 구역을 금연구역으로 지정·운영하며 4개월간의 계도기간을 거쳐 9월 1일부터 단속을 시작해 적발시 최고 10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할 것이라고 29일 밝혔다. 2016.04.29. mangusta@newsis.com
설자리가 줄어든 흡연자들은 당국이 흡연구역은 마련하지 않고, 자꾸 금연구역만 늘려서 사실상 흡연할 권리를 차단하며 금연을 강제한다는 입장이다. 한마디로 흡연자들을 궁지로 몰아넣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서울특별시 간접흡연 피해방지 조례'에 따라 오는 5월부터 서울 시내 모든 지하철역 10m 이내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시는 계도기간이 종료되는 오는 9월부터는 위반 시 최대 10만원의 과태료를 물린다는 계획이다.
공공장소에 발생하는 간접흡연 피해를 막기 위한 조치다. 지하철 입구는 대표적인 흡연장소로 꼽히고 있다. 서울시가 '흡연실태 모니터링'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총 1673개 지하철 출입구 주변의 흡연 건수는 시간당 평균 1만529건에 달했다.
지하철 입구에서 피워 대는 담배연기로 인해 수많은 시민들이 간접흡연 피해에 노출되는 실정이다.
비흡연자들은 앞으로 지하철을 이용할 때 간접흡연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소식에 환영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대부분의 흡연자들은 금연구역을 늘리는 것 자체는 사회 분위기상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흡연자들이 담배를 필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은 마련되어야 하지 않느냐는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최근 금연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금연거리에 이어 건물 안팎, 버스정류장 인근, 지하철역 입구까지 대부분의 공공장소가 금연구역으로 지정됐다. 흡연자들이 눈치를 봐야하는 상황이 그만큼 늘어난 셈이다.
자영업자 신정현(37·여)씨는 "담배를 집에서 숨어서 피우라는 거냐"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신씨는 "금연구역을 늘릴 거라면 흡연구역도 따로 만들어야 한다. 흡연구역이 없으니까 아무데서나 피게 되는 것 아니냐"라며 처벌 위주의 금연정책에 거부감을 드러냈다.

【서울=뉴시스】박문호 기자 = 1일부터 서울 서초구 지하철 출입구 주변 10m 이내가 모두 금연구역으로 지정돼 서초구는 구내 지하철역 22곳의 121개 출입구 주변에서 흡연자 집중 단속에 나선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강남역 지하철역 출입구 주변에 금연을 알리는 깃발과 대형 스티커가 붙어 있는 모습. 2015.07.01. go2@newsis.com
애연가인 최모(37)씨는 "요즘 어디를 가더라도 담배를 피우려면 눈치를 봐야하는 상황이다. 혹시 담배를 피우다 지하철역을 지나치게 되면 벌금을 내야하는 거냐"면서 "걸어다니며 담배를 피우는 건 사실상 포기해야겠다"고 푸념했다.
실효성에 의문을 갖는 흡연자들도 나왔다. 이들은 지하철역 주변을 금연구역으로 지정하는 게 간접흡연 피해를 줄이는 데 실질적으로 효과가 있을지 의구심을 보였다.
회사원 정모(25·여)씨는 "버스정류장도 금연구역이지만 다들 담배를 피운다"며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고 했다. 대학생 유대선(25)씨도 "길에서 흡연한다고 딱지를 떼지는 않는다"며 "제대로 단속하지 않는다는 걸 알기 때문에 지하철역 앞에서 흡연이 계속될 게 뻔하다"고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찬성 입장을 보이는 흡연자들도 있었다.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권모(46)씨는 "담배를 피우지만 남들에게 피해를 주기는 싫다"며 "금연구역이 지하철역 인근 10m면 적당한 수준이다"라고 평가했다. 대학생 김광욱(26)씨도 "백해무익한 담배는 사람들이 없는 곳에서 피우는 게 맞다"고 했다.
secret@newsis.com bemate1024@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