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없는 명품②] 글로벌 럭셔리 소비 수요 꿈틀…中부진에 美부상
'큰 손' 중국, 불황에 지난해 매출 감소
'강달러' 미국, 명품 소비 증가 전망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샤넬과 에르메스 등 명품 브랜드들이 새해를 맞아 제품 가격 인상을 이어가고 있는 8일 서울 시내 한 백화점에 개점을 기다리는 시민들이 줄을 서 있다. 2025.01.08. hwang@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1/08/NISI20250108_0020654662_web.jpg?rnd=20250108110415)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샤넬과 에르메스 등 명품 브랜드들이 새해를 맞아 제품 가격 인상을 이어가고 있는 8일 서울 시내 한 백화점에 개점을 기다리는 시민들이 줄을 서 있다. 2025.01.0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주혜 기자 = 세계 명품 시장의 '큰 손'인 중국의 소비 부진에 어려움을 겪은 글로벌 명품 브랜드들이 미국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말 미국에서의 매출 증가가 두드러진 데다 '강달러'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그러나 가격 인상에 의존한 성장 전략을 지속할 수 있을지 의구심도 제기된다.
8일 글로벌 컨설팅업체 베인앤드컴퍼니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본토의 명품 시장의 매출액은 전년보다 18~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기준 중국인 대상 명품 매출액은 7% 감소했다.
해외에서 명품을 구입하는 경우를 고려해도 소비가 줄어든 것이다.
베인앤드컴패니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중국 럭셔리 시장' 보고서에서 중국의 부동산 침체와 고용 불안 등으로 인해 명품 구매가 급감했다고 분석했다.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소비에 신중해진 모습이다.
세계 명품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중국의 침체에 글로벌 명품 브랜드들은 미국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첫해인 올해 강달러 기조가 이어지고 미국 경제가 호조를 보이면서 명품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달러 가치가 오르면 미국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명품을 구입할 수 있어서다.
미국 씨티그룹이 지난해 12월 신용카드 지출을 분석한 결과 미국 소비자가 신용카드로 명품을 소비한 규모는 2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말 주요 명품 그룹의 실적에서도 미국 시장의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루비이통과 크리스챤 디올, 셀린느 등을 보유한 프랑스 명품 그룹 루이뷔통모에헤네시(LVMH)는 지난해 매출이 847억 유로(약 127조원)로 전년보다 2% 감소했다.
LVMH는 지난해 3분기 매출 감소를 겪었으나 4분기에는 매출 반등에 성공했다.
회사 측은 불확실한 환경에서도 유럽과 미국에서 매출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스위스 명품 그룹 리치몬트는 지난해 3분기(10~12월) 매출이 약 62억 유로로 전년 동기보다 10% 증가했다.
리치몬트 그룹은 주얼리 브랜드 까르띠에, 반클리프 아펠과 시계 브랜드 IWC 등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 등 중화권의 매출이 18% 감소했으나 미국 등 북미 지역의 매출이 22% 증가하면서 성장을 견인했다.
아울러 한국도 성장세가 가파른 시장으로 꼽혔다.
리치몬트 그룹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매출이 7% 줄었지만 한국에서는 두 자릿수 성장이 나타났다고 언급했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도 아시아 시장에서 중국이 거시 경제에서 어려움을 겪으면서 올해 명품 브랜드들은 한국, 일본, 인도 등으로 초점을 돌릴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명품 브랜드들이 코로나 이후 가격 인상 정책에 의존해온 점에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맥킨지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명품 업계 매출 성장의 80% 이상은 가격 인상으로 인한 것이라며 반면 제품과 경험에 대한 혁신은 부족했다고 짚었다.
특히 코로나 시기 가격을 큰 폭으로 인상한 브랜드의 경우 이러한 전략이 더 이상 효과를 내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맥킨지는 "명품 브랜드는 최근 5년간 급속한 확장으로 독점성, 창의성, 장인정신이 약화했다"면서 "소비자들이 제품 품질과 경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제품의 우수성을 회복하는 등 전략을 재설정하고 장기적으로 봐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