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광양·당진시, 트럼프發 철강 산업 위기 공동 대응
포항·광양·당진시, 철강 산업 도시 단체장 긴급 대책 회의
지역 경제 근간인 철강 산업 위기 극복 공동 대응 모색
국내 철강 산업 보호, 경쟁력 강화 위한 범정부 대응 촉구
![[포항=뉴시스] 송종욱 기자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재 관세 25% 부과 등으로 철강 산업의 위기에 놓이자, 포항·광양·당진시 단체장이 영상 회의를 통해 긴급 금융 지원과 세제 혜택 등 철강 업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철강 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다. 사진은 이강덕 포항시장과 정인화 광양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이 '철강 산업 도시 단체장 긴급 대책' 영상 회의에서 공동 건의문 채택 모습. (사진=포항시 제공) 2025.02.13.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2/13/NISI20250213_0001769818_web.jpg?rnd=20250213170936)
[포항=뉴시스] 송종욱 기자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재 관세 25% 부과 등으로 철강 산업의 위기에 놓이자, 포항·광양·당진시 단체장이 영상 회의를 통해 긴급 금융 지원과 세제 혜택 등 철강 업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철강 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다. 사진은 이강덕 포항시장과 정인화 광양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이 '철강 산업 도시 단체장 긴급 대책' 영상 회의에서 공동 건의문 채택 모습. (사진=포항시 제공) 2025.02.13. [email protected]
[포항=뉴시스]송종욱 기자 = 글로벌 통상 환경 악화로 철강 산업의 위기가 이어지자 철강 산업 도시인 포항·광양·당진시가 공동 대응에 나섰다.
포항시는 13일 광양·당진시와 '철강 산업 도시 단체장 긴급 대책 영상 회의'를 열고 공동 대응을 모색했다.
영상 회의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정인화 광양시장, 황침현 당진부시장이 참여했다.
각 지자체는 철강 산업 현황과 피해 상황 등을 공유하고, 철강 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공동 대응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글로벌 철강 시장은 2021년 이후 경기 침체로 철강 수요가 감소했지만, 여전히 높은 중국의 조강 생산량으로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또 중국의 저가 공세와 일본의 엔저로 경쟁력 약화 등 국내 철강 업계는 전례 없는 불황을 맞았고, 최근 미국의 철강 제품 25% 관세 부과로 위기가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 참여한 포항·광양·당진시의 조강 생산량은 국내 전체 조강 생산량의 93%(지난해 국내 총생산량 6351만t)를 차지하며, 철강 산업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 철강 산업 위기 대응 방안이 절실한 상태다.
이들 3개 도시는 지역 산업을 넘어 대한민국 철강 산업 전반을 흔들 수 있는 위기 극복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는 데 공감하고, 여·야·정부의 협력을 이끌어 범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또 철강 산업이 무너지면 국가 경제 전반의 붕괴로 회복이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될 것을 우려해 긴급 금융 지원과 세제 혜택 등 철강 업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철강 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다.
이강덕 시장은 "철강은 자동차·조선·전자 등 모든 산업에 필요한 대체 불가 핵심 소재이자 우리 산업의 주력 수출품으로 철강 산업의 위기는 지역을 넘어 대한민국 전체의 위기"라며 "앞으로 광양·당진시 단체장과 머리를 맞대 각 지역의 철강 기업, 관계 기관 등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청취해 국내 철강 산업 보호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포항시는 지역 철강 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을 위해 노력하고, 국내 기업 의무 할당제, 산업용 전기료 인하, 중국산 후판 반덤핑 제소 신속 처리, 수출 쿼터제 합의 등 정부·국회 차원의 특별 지원 대책을 지속해서 건의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