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이동통신 표준화 기구 '3GPP' 의장단 2명 배출…8석 확보
삼성리서치 인도·중국 연구원, 의장단 합류
3GPP, 하반기부터 6G 연구 본격 착수 기여
![[서울=뉴시스] (왼쪽부터) 라자벨 삼성리서치 인도 벵갈루루연구소 연구원, 리샹 삼성리서치 중국 베이징연구소 연구원. (사진=삼성전자 뉴스룸 제공) 2025.05.23.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5/23/NISI20250523_0001850066_web.jpg?rnd=20250523093626)
[서울=뉴시스] (왼쪽부터) 라자벨 삼성리서치 인도 벵갈루루연구소 연구원, 리샹 삼성리서치 중국 베이징연구소 연구원. (사진=삼성전자 뉴스룸 제공) 2025.05.23.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은비 기자 = 삼성전자가 이동통신 기술 표준 규격을 정립하는 단체인 3GPP 내 기술분과에서 의장과 부의장을 동시에 배출했다.
23일 삼성전자 뉴스룸에 따르면 라자벨 삼성리서치 인도 벵갈루루연구소 연구원이 서비스·시스템 기술분과3 의장으로, 리샹 삼성리서치 중국 베이징연구소 연구원이 무선 접속망 기술분과3 부의장으로 신규 선임됐다.
3GPP는 1998년 설립된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퀄컴, 애플, 에릭슨, 노키아, 화웨이 등 전 세계 주요국 이동통신 관련 기업과 단체들이 참여해 이동통신 표준 정립을 주도하고 있다.
3GPP에는 서비스·시스템, 무선접속망(RAN), 핵심망·단말(CT) 등 총 3개 기술표준그룹(TSG)이 존재한다. 기술표준그룹 산하에 4~6개씩 총 15개 기술분과(WG)로 구성된다.
라자벨 연구원이 의장을 맡은 분과는 이동통신망 보안과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기술 표준을 정의하고, 리샹 연구원이 부의장으로 있는 분과는 기지국 연동 프로토콜 기술 개발을 담당한다.
앞서 지난 3월 김윤선 삼성리서치 마스터가 3GPP에서 물리계층과 무선 프로토콜, 주파수 활용 등 무선 기술 전 분야 표준화를 총괄하는 무선접속망 기술표준그룹 총회(TSG RAN) 의장으로 선임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는 3GPP에서 의장 3석, 부의장 5석을 확보했다.
3GPP는 올해 하반기부터 6G 연구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라자벨 연구원이 의장인 분과에서는 양자컴퓨터를 이용한 해킹 등 다양한 유형의 공격에 대비한 보안 기술이나 이동통신망에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프라이버시 침해 방지 기술 도입을 연구할 예정이다.
또 리샹 연구원이 부의장으로 신규 선임된 분과에서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기지국 에너지 소모를 줄이거나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는 기술 등을 연구한다. 6G에서 강조하는 AI 활용, 보안 강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술 개발에 핵심적인 내용이다.
삼성전자는 "이번에 확보한 의장단을 포함해 이동통신 전 영역에 걸쳐 기술 표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며 "6G 기술 표준화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이동통신 업계, 단체들과 협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