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서울 사는 외국인도 고령화…50대 이상 35.2% 차지

등록 2025.06.13 08:31:55수정 2025.06.13 10:10: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조선족 고령화 추세 뚜렷…서남권 집중

[서울=뉴시스]서울시 외국인 주민 고령화. 2025.06.02. (자료=서울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서울시 외국인 주민 고령화. 2025.06.02. (자료=서울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한국 사회 전반적으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에 살고 있는 외국인 중에서도 고령자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13일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서울에 사는 외국인 주민은 약 45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4.8%다.

45만명 중 한국 국적 미취득자가 81.5%다. 국적 취득자는 10.4%, 외국인 주민 자녀는 8.1%다.

한국 국적 미취득자 36만여명 중 조선족 등 외국 국적 동포가 28.7%로 가장 많다. 이어 유학생이 18.9%, 외국인 노동자가 11.5%, 결혼 이민자가 8.7%다. 불법 체류자 등 기타 외국인이 32.3%다.

한국 국적 미취득자는 영등포구(10.7%), 금천구(10.4%), 구로구(10.2%) 등 주로 서남권에 집중돼 있다. 유학생은 동대문구(17.0%), 서대문구(11.2%), 성북구(10.8%) 등 대학이 밀집한 강북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국적별로 보면 한국 국적 미취득자 중 조선족이 15만2584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중국인이 6만9142명, 베트남인이 2만4009명, 미국인이 1만9154명, 유럽인이 1만6059명으로 나타났다.

한국 국적 미취득자 중 35.2%가 50대 이상으로 고령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생이 위주인 20~29세가 24.5%로 비중이 비교적 컸지만 50대 이상보다는 적었다. 50~59세가 17.8%, 60~69세가 13.5%, 70세 이상이 3.9%를 차지했다.

조선족 등 외국 국적 동포 고령화 추세가 뚜렷하다. 외국 국적 동포 중 70세 이상이 1만1366명, 60~69세가 3만2542명, 50~59세가 2만3419명이었다.

외국인 노동자 중에서도 50~59세가 1만505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39세가 8926명, 40~49세가 7755명 순이었다.

불법 체류자 등 기타 외국인 역시 고령화 중이다. 기타 외국인 중 70세 이상은 2164명, 60~69세는 1만744명, 50~59세는 2만628명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