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 "덥다", 저기 "춥다"…서울 지하철 냉난방 민원 2호선 최다
덥다·춥다 민원 동시에 발생해 고객센터 난감
![[서울=뉴시스] 냉난방 민원 접수. 2025.06.20. (자료=서울교통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6/19/NISI20250619_0001871953_web.jpg?rnd=20250619180538)
[서울=뉴시스] 냉난방 민원 접수. 2025.06.20. (자료=서울교통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서울교통공사(사장 백호)는 여름철 냉방 불편 민원이 집중되면서 응급 상황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지난해 1년간 접수된 냉난방 민원을 시간대별로 분석한 결과 출퇴근 시간대(오전 7~9시, 오후 6~8시)에 '덥다' 민원이 가장 많았다. 이와 동시에 '춥다' 민원도 출퇴근 때 가장 많았다.
지난해 출퇴근 시간대 전체 덥다 민원 중 71.9%에 달하는 62만3969건이 접수됐다. 승객이 가장 많은 오전 8시에는 22만9846건(26.5%)이 몰렸다. 춥다 민원도 출퇴근 시간대에 전체의 절반이 넘는 61.1%(3만5538건)가 접수됐다.
호선별로는 수송 인원이 가장 많은 2호선에 냉난방 민원 35.0%가 집중됐다. 7호선(20.6%)과 5호선(12.6%)이 2호선의 뒤를 이었다.
객실 내 냉난방기는 개별 온도 감지기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자동 조절된다. 열차 내 냉방 온도는 환경부 고시에 따라 일반칸은 24℃, 약냉방칸은 25℃로 설정된다.
열차가 혼잡할 경우 객실 내 온도가 올라가기 때문에 공사 공식 앱인 '또타지하철'에서 열차 내 혼잡도 정보를 확인해 덜 붐비는 칸을 이용하면 된다.
2호선과 3호선 서울교통공사 구간은 실시간 혼잡도를 제공하고 있다. 2·3호선을 제외한 1~9호선은 직전 3개월, 요일별, 10분 평균 혼잡도를 분석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좌석 위치에 따라서도 온도 차이가 발생한다. 열차 내 냉기 흐름에 따라 온도가 가장 낮은 곳은 객실 양쪽 끝 교통 약자 배려석 주변이다.
반대로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객실 중앙부다. 본인 체감 온도에 따라 열차 내에서 자리를 이동하면 된다.
추위를 느끼는 승객의 경우 일반칸에 비해 1℃ 높게 운영되는 약냉방칸을 이용하면 된다. 약냉방칸은 1·3·4호선에서 4·7번째 칸이며 5·6·7호선은 4·5번째, 8호선은 3·4번째 칸이다. 2호선은 혼잡도가 높아 약냉방칸을 따로 운영하지 않는다.
공사는 열차 이용 중 덥거나 추울 경우 '또타지하철' 앱 혹은 공식 챗봇을 통해 민원을 접수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열차 내 긴급 민원 처리를 비롯해 질서 저해자 등 다양한 민원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과도한 열차 내 냉난방 민원 제기를 자제할 것을 부탁드린다"며 "쾌적한 지하철 이용 환경 조성을 위해 힘쓰고 있는 만큼 승객 여러분께서도 지하철 이용 시 양해해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전통자 객실 내 공기 흐름도. 2025.06.20. (자료=서울교통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6/19/NISI20250619_0001871955_web.jpg?rnd=20250619180602)
[서울=뉴시스] 전통자 객실 내 공기 흐름도. 2025.06.20. (자료=서울교통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