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SKT "AI 기억훈련 했더니…치매 이환율 5분의 1로 줄어"

등록 2023.12.11 09:19:02수정 2023.12.11 09:47:2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SKT-부여군, '두뇌톡톡' 2년 이용 치매 고위험군 분석

분석군 시험 결과 3.24%…연간 치매이환율 통상 15%

[서울=뉴시스] SK텔레콤은 자사 인공지능(AI) 스피커 기반 기억훈련 프로그램인 두뇌톡톡이 노인 치매 이환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은 성동구의 한 가정에서 AI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SK텔레콤은 자사 인공지능(AI) 스피커 기반 기억훈련 프로그램인 두뇌톡톡이 노인 치매 이환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고 11일 밝혔다. 사진은 성동구의 한 가정에서 AI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윤정민 기자 =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스피커 기반 기억훈련 프로그램인 '두뇌톡톡'이 노인 치매 이환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고 11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지난 2021년 6월부터 지난 6월까지 충남 부여군 거주 노인들을 대상으로 치매 예방 사회성과보상(SIB) 사업을 진행해 치매 고위험군인 경도인지장애자에게 대상 인지치료와 두뇌톡톡 서비스 등을 제공했다.

경도인지장애란 같은 연령대보다 기억력이나 기타 인지기능 중 한 가지 영역 이상에서 저하가 있으나 일상생활을 수행하는 능력은 보존돼 있어 아직은 치매가 아닌 상태의 장애를 말한다.

사업 평가기관인 인제대 일산백병원에 따르면 사업 기간 경도인지장애 노인 30명 중 약 1명만 치매가 진행됐다. SK텔레콤은 통상적인 경우 연간 치매이환율이 약 15% 수준이라며 이번 결과는 현저하게 낮은 수치라고 말했다.

이번 부여군 사회성과보상사업은 팬임팩트코리아를 운영기관으로 마음꼭과 행복커넥트, 차의과학대 산학협력단이 수행했다. 행복나눔재단,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 엠와이소셜컴퍼니는 민간투자자로 참여했다.

사회성과보상사업은 복지·보건·교육·고용·주거·문화·환경 등 공공사업에 대한 초기사업비를 민간투자로 충당하고 목표가 달성되면 약정 기준에 따라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예산을 집행하는 방식이다.

SK텔레콤은 두뇌톡톡 기반 사회성과보상 사업에 대해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각 지자체들이 인적·물적 부담을 덜고 노령화 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방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지자체 입장에서는 사회성과보상사업 성공 이후 예산을 투입하는 방식으로 효율적 추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준영 서울대 교수 연구팀은 2021년 의료정보학·헬스케어 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인 JMIR에 두뇌톡톡을 지속 이용한 어르신들의 장기 기억력이 13% 향상되고 작업 기억력이 11.4%, 언어 유창성도 15.5% 향상되는 등 치매 발현 지연에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