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국 딥시크 사용 제한에 中 "불법 수집 없어"
중국 외교부 "위법한 데이터 수집·저장 요구하지 않아"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정부 부처가 중국 인공지능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대거 나선 가운데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사무실에서 공무원 컴퓨터에 딥시크 차단 화면이 보여지고 있다. 2025.02.06. kmx1105@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2/06/NISI20250206_0020684901_web.jpg?rnd=20250206154239)
[서울=뉴시스] 김명원 기자 = 정부 부처가 중국 인공지능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에 대거 나선 가운데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사무실에서 공무원 컴퓨터에 딥시크 차단 화면이 보여지고 있다. 2025.02.06. [email protected]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정례브리핑에서 각국의 딥시크 이용 제한 움직임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중국 정부는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고도로 중시하고 법에 따라 보호한다"며 "기업이나 개인에게 위법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저장하도록 요구한 적이 없고 요구하지도 않는다"고 밝혔다.
궈 대변인은 이어 "중국은 국가 안보 개념의 확대와 경제·무역, 과학기술 문제의 정치화에 일관되게 반대해왔으며 동시에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확고히 수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딥시크의 안보 위험 우려가 제기되면서 이탈리아와 호주, 대만 등 각국 정부가 딥시크 사용 제한에 나서고 있다. 한국 정부도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국방부 등 정부부처 10여곳이 딥시크 접속 제한 조치를 취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