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달탐사선 다누리, 임무 2년 연장…달 근접 관측도 진행
우주청, 다누리 임무 기간 2027년까지 추가 연장 결정
임무 고도 100㎞→60㎞…2028년 달에 충돌해 임무 종료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20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열린 '다누리의 스펙타클 365전'에 다누리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2023.12.20. xconfind@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3/12/20/NISI20231220_0020169092_web.jpg?rnd=20231220153248)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20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열린 '다누리의 스펙타클 365전'에 다누리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2023.12.20. [email protected]
우주항공청은 10일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달탐사 관련 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다누리의 임무기간을 2년 추가 연장해 2027년까지 탐사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다누리는 2022년 8월 발사돼 당초 계획된 1년간의 달 궤도상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고, 이후 2025년 12월까지 임무를 한차례 연장했다. 잔여 연료량 등을 계산한 결과 추가 운용이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우주청은 이번 회의에서 항우연 및 다누리 탑재체 운영기관과 참여 과학자 의견 수렴, 탐사선 잔여 연료량과 상태 등의 분석을 통해 임무기간을 추가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임무 연장 기간동안 과학적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누리 임무 고도를 60㎞로 낮춰 7개월 간 운영하게 된다. 기존의 다누리 임무 고도는 달 상공 100㎞다.
이후 별도의 궤도 조정 없이 장기간 궤도 운영이 가능한 달 동결궤도로 다누리를 진입시켜 2027년 말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달 동결궤도는 달의 중력 분포 특성을 이용해 특정조건의 달 궤도로 투입하는 경우, 별도의 궤도 조정 없이 자연적으로 궤도가 유지되는 궤도다. 다누리는 낮은 고도 60㎞, 높은 고도 200㎞의 타원형 동결궤도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후 우주청은 다누리를 달 착륙과 유사한 고도까지 낮춰 달 착륙에 필요한 기술을 시험하고 2028년 3월 달에 충돌하도록 할 계획이다.
달 고도 60㎞ 상공 저궤도에서 다누리를 운영하면 달 표면에 근접한 관측이 가능해 더욱 세밀한 과학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후 이어지는 동결궤도 운영을 통해서는 장기간의 과학 데이터 획득과 달 극지역 영구음영지역 내부의 시간에 따른 변화 등을 관측할 계획이다.
다누리에 섀도우캠을 탑재하고, 다누리 추적 및 통신을 지원하고 있는 NASA(미 항공우주국)와의 협력기간 또한 다누리 협력 이행약정서 개정을 통해 2028년 12월까지로 연장한 바 있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다누리의 추가 임무연장과 운영 궤도 변경을 통해 각 임무 탑재체별 성과를 극대화하고, 미국의 아르테미스 계획과 2032년 발사를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 달착륙선 계획에 도움이 되도록 다누리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