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韓 달탐사선 다누리, 임무 2년 연장…달 근접 관측도 진행

등록 2025.02.10 17:00:00수정 2025.02.10 17:12: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우주청, 다누리 임무 기간 2027년까지 추가 연장 결정

임무 고도 100㎞→60㎞…2028년 달에 충돌해 임무 종료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20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열린 '다누리의 스펙타클 365전'에 다누리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2023.12.20.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20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전망대에서 열린 '다누리의 스펙타클 365전'에 다누리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2023.12.2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우리나라 최초의 달 탐사선 '다누리'의 임무기간이 2027년 말까지 2년 연장됐다.

우주항공청은 10일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달탐사 관련 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다누리의 임무기간을 2년 추가 연장해 2027년까지 탐사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다누리는 2022년 8월 발사돼 당초 계획된 1년간의 달 궤도상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고, 이후 2025년 12월까지 임무를 한차례 연장했다. 잔여 연료량 등을 계산한 결과 추가 운용이 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

우주청은 이번 회의에서 항우연 및 다누리 탑재체 운영기관과 참여 과학자 의견 수렴, 탐사선 잔여 연료량과 상태 등의 분석을 통해 임무기간을 추가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임무 연장 기간동안 과학적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누리 임무 고도를 60㎞로 낮춰 7개월 간 운영하게 된다. 기존의 다누리 임무 고도는 달 상공 100㎞다.

이후 별도의 궤도 조정 없이 장기간 궤도 운영이 가능한 달 동결궤도로 다누리를 진입시켜 2027년 말까지 운영할 예정이다. 달 동결궤도는 달의 중력 분포 특성을 이용해 특정조건의 달 궤도로 투입하는 경우, 별도의 궤도 조정 없이 자연적으로 궤도가 유지되는 궤도다. 다누리는 낮은 고도 60㎞, 높은 고도 200㎞의 타원형 동결궤도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후 우주청은 다누리를 달 착륙과 유사한 고도까지 낮춰 달 착륙에 필요한 기술을 시험하고 2028년 3월 달에 충돌하도록 할 계획이다.
 
달 고도 60㎞ 상공 저궤도에서 다누리를 운영하면 달 표면에 근접한 관측이 가능해 더욱 세밀한 과학적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후 이어지는 동결궤도 운영을 통해서는 장기간의 과학 데이터 획득과 달 극지역 영구음영지역 내부의 시간에 따른 변화 등을 관측할 계획이다.

다누리에 섀도우캠을 탑재하고, 다누리 추적 및 통신을 지원하고 있는 NASA(미 항공우주국)와의 협력기간 또한 다누리 협력 이행약정서 개정을 통해 2028년 12월까지로 연장한 바 있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다누리의 추가 임무연장과 운영 궤도 변경을 통해 각 임무 탑재체별 성과를 극대화하고, 미국의 아르테미스 계획과 2032년 발사를 목표로 하는 우리나라 달착륙선 계획에 도움이 되도록 다누리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