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고환율에 타격받은 LCC…FSC는 사상 최대 매출

등록 2025.05.17 09:00:00수정 2025.05.17 09:06:2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비행기 리스부채 상환 금액 급증

기피 현상에 운임을 낮춰 실적 악화

[인천공항=뉴시스] 8일 인천국제공항에 이륙하는 대한항공 뒤로 LCC 여객기가 주기되어 있다. 2024.07.08. yesphoto@newsis.com

[인천공항=뉴시스] 8일 인천국제공항에 이륙하는 대한항공 뒤로 LCC 여객기가 주기되어 있다. 2024.07.0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신항섭 기자 = 항공사들의 1분기 실적 발표가 마무리 된 가운데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의 극명한 차이가 나타났다. FSC는 1분기 사상 최대 매출을 달성했지만 LCC는 기피 현상과 고환율의 여파로 실적 악화가 시현됐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1분기 기준 사상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다.

대한항공은 매출 3조9559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3.6% 늘어났고, 아시아나항공은 1조743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했다.

영업이익의 경우 대한항공은 전년 동기 대비 19.5% 감소한 3509억원을 기록했고, 아시아나항공은 영업손실이 233억원 줄어든 79억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LCC들의 실적 악화가 시현됐다. 제주항공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3847억원, 영업손실 32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30.8% 급감했고,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티웨이항공도 적자 전환했다. 1분기 매출이 5.6% 늘어났지만 영업손실이 355억원 발생했다.

진에어는 매출 4178억원으로 2.89% 줄었고, 영업이익은 583억원으로 40.83% 급감했다. 에어부산도 영업이익이 43.39% 급감한 402억원을 기록했다.

LCC들의 실적 악화는 기피현상 때문이다. 지난해 말부터 LCC에서 잇따른 사고 발생으로 여행객들이 LCC 탑승을 꺼리기 시작했다.

이에 LCC 항공사들은 운임을 낮추며 고객 유치에 적극 나섰다. 티켓 가격을 낮춰 판매해 공급 좌석 킬로미터(ASK·Available Seat Kilometers)당 수익이 줄어든 것이다.

여기에 고환율에 따른 리스 비용도 실적 악화에 영향을 줬다. 리스 비용은 글로벌 항공사 리스 회사에 달러로 지불해야 한다.

항공기술정보시스템(ATIS)에 따르면 리스 비중이 높은 항공사들은 에어부산(100%), 제주항공(85%), 티웨이항공(85%), 진에어(70%) 등 모두 LCC들이다.

리스 비중이 100%인 에어부산의 경우 1분기 리스부채의 상환이 19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3% 늘어났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사고 이후 FSC와 LCC 간 실적 차별화가 지속되고 있다"며 "LCC 성장 전략에 수정이 불가피해졌다"고 말했다.

이어 "항공안전이 강조되는 만큼 외연 확장 속도는 느려지고, 미국 관세 인상에 따른 공급망 충격으로 기재 도입도 어려워졌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