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UNIST, '도메인 벽' 안정성 입증…"고밀도 메모리 소자 개발 단서"

등록 2025.05.22 10:26:1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이준희 교수팀 "산화하프늄서 '대전된 도메인 벽' 벌크 영역 보다 안정"

[울산=뉴시스] 구미현 기자 = 방향 도메인 벽에서 도핑 비율에 따른 분극 분포 변화. (사진=UNIST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뉴시스] 구미현 기자 = 방향 도메인 벽에서 도핑 비율에 따른 분극 분포 변화. (사진=UNIST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뉴시스] 구미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강유전체의 불안정한 구조로 여겨졌던 도메인 벽이 오히려 가장 안정적인 상태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반도체 고밀도 메모리 소자 개발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이준희 반도체소재부품대학원 교수팀은 강유전체에서 '대전된 도메인 벽'이 가장 에너지가 낮은 상태로 여겨지는 벌크 영역보다 더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양자역학 기반 계산을 통해 입증했다고 22일 밝혔다.

강유전체는 외부에서 전기장을 가해 물질 내부의 분극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차세대 반도체 소재다.

이 소재 내부에는 서로 다른 분극 방향이 만나는 경계면인 도메인 벽이 형성되는데 형성에 필요한 에너지가 높고 일단 생겨도 쉽게 사라져 불안정하다고 알려져 있었다.

이 교수팀은 산화하프늄 강유전체의 특정 결정 방향에서 형성되는 대전된 도메인 벽이 오히려 벌크 영역보다 낮은 총 에너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으로 확인했다.

고체물리학 상식에 반하는 이 같은 현상은 '음의 구배 에너지'라는 특이한 물리적 성질 덕분이다. 분극 방향이 급격히 바뀌는 도메인 벽에서는 보통 구배 에너지가 양의 값을 가져 벽 형성을 방해한다.

하지만 산화하프늄의 경우, 특정 진동 모드에서 이 에너지가 음수로 바뀌며 도메인 벽이 형성되기 쉬운 조건이 만들어졌다.

이처럼 음의 구배 에너지가 대전으로 인해 생긴 정전기 에너지를 일부 상쇄하고 나머지 에너지는 도핑을 통해 보상하면 전체적으로는 벌크보다 더 안정적인 도메인 벽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결론이다.
[울산=뉴시스] 구미현 기자 = 이준희 교수 (UNIST 제공)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뉴시스] 구미현 기자 = 이준희 교수 (UNIST 제공)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이준희 교수는 "강유전체내 대전된 도메인 벽이 에너지적으로 안정화될 수 있는 조건을 이론적으로 규명한 연구"라며 "도메인 벽의 유무를 각각 0과 1의 정보로 저장하는 고밀도 메모리 소자 개발에 단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에는 파완 쿠마르·딥티 굽타 UNIST 연구원이 각각 제1저자와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물리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에 4월22일자로 출판됐다.

연구 수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