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이 대통령, 나토 회의 불참…한미 정상회담 전망은

등록 2025.06.23 10:33:15수정 2025.06.23 10:43:4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다자회의 아닌 백악관에서 단독 한미정상회담 추진할 듯

상호관세 유예조치 7월8일 만료…시한 전 만남은 불투명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한남동 관저에서 열린 여야 지도부와 오찬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6.22.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한남동 관저에서 열린 여야 지도부와 오찬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6.2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4~25일(현지시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불참을 결정하면서 대통령실은 당분간 한미 정상회담 추진에 외교력을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대통령실 관계자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전날 참모진 회의 끝에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미국의 이란 공습으로 중동에서의 확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인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도 불투명해지면서 최종 불참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계기로 지난 17일 캐나다에서 열릴 예정이던 한미 정상회담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동 문제를 들어 급거 귀국하면서 무산됐는데 이번에도 상황이 여의치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외교 전문가는 "나토는 유럽·북미 32개국의 군사 동맹인 데다 최근 들어 러시아와 중국에 대해 더욱 각을 세우고 있다"며 "중동 정세 악화가 동북아시아의 긴장 고조로 이어질 수 있어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도 관리해야 하는 우리로서는 불확실성이 증대되면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국제 정세가 불안한 상황이기 때문에 트럼프와 만난다고 해도 우리가 원하는 관세 협상 등을 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닐 것"이라며 "본인들의 진영 논리에 따라 군사협력을 압박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상황을 좀 살펴보고 지켜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G7 회의에서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만남이 무산된 후 미국 측과 정상회담의 시기와 방식 등을 조율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 대통령이 나토 회의에 참석하지 않기로 하면서 한미 정상회담은 워싱턴DC에서 단독으로 개최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애초 내부에서는 관세 협상과 방위비 분담금 등 외교 현안 논의를 내실 있게 하기 위해서는 다자회의인 나토보다 백악관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진행하는 게 더 적합하다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다만 트럼프의 행보와 요동치는 국제 정세를 고려하면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조치가 만료되는 다음 달 8일 전에는 물리적으로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기는 어렵게 됐다는 게 중론이다.

이 대통령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과 관련해 "다른 국가보다 더 불리한 상황에 처하지 않게 하는 것이 과제"라고 언급했다. 적어도 다른 국가보다 손해 보지 않겠다는 현실적인 목표를 제시한 셈인데 이를 관철할 수 있을지가 이재명 정부 '실용 외교'의 중대한 시험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이 처음으로 무역 협상을 마무리 지은 나라는 영국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G7 정상회의에서 열린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의 양자 회담에서 무역협정에 공식 서명했다. 백악관이 정상회담 뒤 공개한 '미·영 경제번영 협정'에 따르면 미국은 영국산 자동차 연간 10만대를 할당량(쿼터)으로 정해 10%의 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10%는 협상의 여지도 없는 기본값이 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관세 협상과 주한 미국의 방위비 분담금 등 까다로운 대미 과제들과 마주하고 있다"며 "월가에서는 관세 유예조치가 연장될 수 있다는 전망도 계속 나오고 있다. 이제는 속도전보다 철저한 준비와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관세와 방위비 증액 등은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미국에 압박을 받고 있는 다른 나라들과 연대하면서 같이 움직일 필요도 있다"며 "주변국들 상황을 살피고 우리가 가진 지렛대를 적절히 사용해 협상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