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항우연 기술진 대거 이직…왜?

등록 2023.09.22 08:10:00수정 2023.09.22 08:20:0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화에어로, 항우연 기술진 영입으로 유리한 고지 선점

"차세대 발사체 사업자 선정 더욱 공정하게 이뤄져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항우연 기술진 대거 이직…왜?


[서울=뉴시스] 김동현 기자 = 차세대발사체 사업자 선정이 예상보다 늦어지는 가운데 조광래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과 10여명의 연구진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이직해 사업자 선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경쟁사인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사업자 입찰 과정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항우연 출신 인사 영입에 공식 항의할 경우 차세대발사체 사업자 선정은 더욱 지연될 수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당초 9월 중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보다 고도화된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주관할 체계종합기업 입찰을 공고하고 우선 협상기업을 선정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최근 이 계획이 차일피일 미뤄지는 모습이다. 항우연의 창립 멤버이자 2014~2017년 10대 원장을 지낸 우주개발 1세대 주자 조광래 전 원장과 10여명의 연구원들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이직한 것과 연관이 있다는 지적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조 전 원장을 비롯해 새롭게 합류한 항우연 소속 연구원들이 '미래우주기초기술연구원'(가칭) 소속으로 활동하며 2032년 달 착륙, 2045년 화성 착륙 연구를 총괄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차세대발사체 사업이 오는 2032년 달 착륙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영입한 항우연 연구진은 사실상 차세대발사체 사업의 주축이나 마찬가지라는 시각이다.

항우연 측에서는 이번 인력 이동과 관련해 청탁금지, 이해충돌 방지, 공직자 윤리 등 법적 요건에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지 살펴본 뒤 차세대 발사체 사업을 예정대로 실시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선 항우연이 올해 안에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주관할 체계종합기업 입찰을 추진할 경우 항우연 출신 연구진을 보유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수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지난 30년간 정부 우주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해온 KAI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이 같은 행보에 난감한 상황이다. 차세대 발사체 사업자 선정에 있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을 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다. 

KAI는 2014년부터 누리호 개발모델, 인증모델, 1~3차 비행모델의 총조립을 담당하며 발사체 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고 다양한 위성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등 우주 산업에 있어 경쟁력이 높다는 평가다.  하지만 차세대 발사체 사업자 선정에선 외부 요인 때문에 탈락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일각에선 차세대 발사체 사업기간이 올 하반기부터 2032년까지 10년에 달하는 데다 사업비 2조132억원이 투입되는 것을 고려할 때 차세대발사체 사업자 선정이 더 공정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들린다.

업계 관계자는 "차세대 발사체 사업 공고가 차일피일 미뤄지는 것은 항우연 측 인사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로 이동한 것과 연관이 있다"며 "이미 한화가 차세대 발사체 사업자로 낙점됐다는 분위기가 높다"고 밝혔다.

이어 "사업자 선정이 공정하게 이뤄지지 않을 경우 사업자 선정 논란을 비롯해 정부의 우주경제 로드맵도 흔들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