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中, 후쿠시마원전 주변 토양 등 '오염수' 조사범위 확대 요구…日은 거절

등록 2024.05.26 12:20:32수정 2024.05.26 13:02:5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후쿠시마=AP/뉴시스]사진은 2023년 8월24일 일본 북부 후쿠시마에 있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는 도쿄전력이 1차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출한 후 모습. 2024.05.26.

[후쿠시마=AP/뉴시스]사진은 2023년 8월24일 일본 북부 후쿠시마에 있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는 도쿄전력이 1차 오염수를 태평양에 방출한 후 모습. 2024.05.26.

[서울=뉴시스] 박준호 기자 =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의 해양 방출과 관련, 중국측이 원전 주변의 토양 등 조사 범위의 확대를 요구했지만,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기준에 따라 필요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응하지 않았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6일 보도했다.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 해양 방출을 둘러싼 일·중 양국 정부의 전문가 협의는 올해 1월과 3월 두 차례 실시됐다.

전문가 협의는 지난해 11월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 샌프란시스코 회담 때 오염수 문제에 대해 협의와 대화를 통한 해결을 도모하기로 합의하면서 마련됐다.

일본 측은 1월과 3월 협의에서 IAEA의 기준을 근거로 들어 해수와 어류 등의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고, 중국 전문가를 포함한 IAEA의 조사단이 정기적인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는 점 등을 설명했다.  

이에 대해 중국측은 원전 주변의 토양 외에 처리수가 되기 전 오염수의 수질에 대해 추가로 조사하도록 요청했다. IAEA가 국제 기준으로서 제시한 해역을 넘어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한다고도 요구했다.

한편 기시다 총리는 26일 한·중·일 정상회담 참석차 한국을 방문해 리창 중국 총리와 별도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중일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총리는 오염수 방출에 따른 일본산 수산물의 수입 금지 조치 철폐를 중국에 요구할 방침이지만, 전문가 협의에서의 일중 쌍방의 주장은 평행선을 달리고 있어 해결을 향한 진전은 전망할 수 없는 상황이다.

양국 정부는 기시다 총리와 리 총리의 26일 서울 정상회담 사전 협의를 위해 이달 중순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회담을 모색했으나 오염수 문제로 무산돼 개최가 미뤄졌다고 요미우리가 전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중국 측에 처리수(일본의 오염수 명칭) 문제를 진전시키려는 의사가 느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